비무장지대·고산지역을 중심
멧돼지 포획 장기대책 시급
최소 3년 보고 계획 세워야
환경부 주최, 전문가토론회

 

“ASF가 북한에서 반복 유입됐을 가능성이 있다. 비무장지대(DMZ), 고산지역 등 야생멧돼지 포획이 쉽지 않은 지리적 여건을 고려해 장기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정부·생산자·전문가 상시 회의가 필요하다.” 
환경부가 ‘야생멧돼지 아프리카돼지열병(ASF) 종합대책’ 마련을 위해 실시한 전문가토론회에서 이 같은 내용이 나왔다. 토론회는 지난달 27일 서울 용산구 KDB생명타워에서 실시했다. 
다수의 전문가는 지난해 10월 이후 ASF가 북한에서 적어도 3번 이상 유입 됐을 것으로 판단, 대책 마련을 강조했다. 
조호성 전북대 수의과 교수는 “야생멧돼지가 동쪽으로 이동해 고성으로 간 것이 아니라 최소 3번 이상 ASF가 유입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김영준 국립생태원 동물관리연구실장은 “ASF의 자연적 전파 속도는 매우 느려 월 2~3km로 1년에 보통 20~30km 이상 확산하기 어렵다”며 “3개월 만에 92km까지 이동한 고성 사례는 북한에서 전파됐을 가능성이 크다”고 전했다.
정현규 도드람양돈연구소 박사는 “북쪽에서 4번 정도 ASF가 넘어왔을 것으로 판단된다”며 “새롭게 유입하는 바이러스가 수시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고 밝혔다. 오연수 강원대학교 수의과대학 교수도 ASF가 북한에서 반복해서 넘어오고 있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
전문가들은 야생멧돼지의 ASF 감염이 더 확산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내놨다. ASF가 쉽게 근절되지 않을 것이라며 장기적인 대응 필요성도 강조했다. 
김영준 실장은 “지뢰지대나 산악 지형이 험준한 강원 화천 해산, 강원 양구 사명산, 강원 철원 고대산 일원은 ASF 근절이 불가능할 것”이라며 “북한, 비무장지대(DMZ)에서 ASF가 통제되지 않으면 야생멧돼지 ASF가 새롭게 발생할 수 있다”고 밝혔다.                   

또 “근절이 어려운 지역에 대한 관리 방안이 필요하다”며 “장기적인 대응을 위해 멧돼지 사체·포획·매몰지 정보, 수렵인 명부 관리와 활동 기록 등의 정보 수집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전했다.
정현규 박사는 “ASF가 야생멧돼지에서 계속 발생하는 상황에서 단기간에 통제하거나, 접경지역에만 묶어두는 것이 현실적으로 쉽지 않을 것”이라며 “이미 광역 울타리를 벗어난 ASF 양성 개체가 있을 수도 있다. 이런 상황은 언제든 일어날 수 있다”고 말했다.
또 “ASF가 야생멧돼지 이외의 야생동물, 사람, 차량 등과 접촉해 확산할 수 있어 광역 울타리를 벗어난 ASF 양성 개체가 발견되는 상황이 언제든지 일어날 수 있다”며 “최소 3년을 보고 대응 계획을 세워야 한다”고 전했다.
또한 “야생멧돼지가 들어가면 포획 등이 어려운 광릉수목원(국립수목원), 서울 주변의 도봉산, 북한산, 설악산 주변에 예방적 울타리 설치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오연수 교수는 “국내 ASF 발생에 있어 야생멧돼지에 대한 정책은 이제 새로운 국면을 맞고 있다”며 “조급하지 않게 긴 호흡으로 가야 할 때”라고 전했다. 정원화 국립환경과학원 팀장은 “북한과 비무장지대로 인해 지속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다”며 “단기간 통제는 희망 사항”이라고 밝혔다.
한편 정현규 도드람양돈연구소 박사는 이날 정부·생산자·전문가가 상시 회의의 필요성도 강조했다. 정 박사는 “현재 상황에서 울타리의 한계를 충분히 설명하고, 현실을 생산자들이 이해하도록 설명해야 한다”며 “생산자, 업계, 국민 눈높이에 맞는 적극적인 설명·홍보로 정책 신뢰도를 향상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환경부는 이날 토론회에서 나온 내용을 검토해 이달 중순께 발표 예정인 ‘야생멧돼지 ASF 종합대책’에 반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종합대책에서는 지역 특성을 반영한 수색 및 포획 방법이 제시될 예정이며, 지역·계절별 대응지침을 포함할 것으로 알려졌다.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