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가 빠른 속도로 전 세계에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WTO(세계무역기구)는 전 세계적인 무역량의 축소가 급격히 심화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 중 특히 주요 식량 생산 국가들의 식량 수출 중단 사태가 이어지고 있다. ATC(아시아무역센터)는 각 국가가 식량 재고와 식량 안보에 불안해하며 수출을 중단하거나 식량 수입을 제한하는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전망했는데, 이는 곧 현실화됐다.
세계 3위 쌀 수출국인 베트남은 올해 3월24일부터 쌀 수출을 중단했다가 4월 들어서야 전년대비 40% 감소한 물량을 수출하고 있다. 연간 약 50만톤의 쌀을 수출하는 캄보디아도 4월5일부터 흰쌀과 벼 수출을 중단했다. 러시아는 3월 중 모든 종류의 곡물 수출을 10일간 제한한바 있다. 세계 최대 쌀 수출국인 인도에서는 국가봉쇄령 때문에 수출하려던 쌀이 항구에 묶여있는 상황이다.
이와 관련 유엔의 데이비드 비슬리 WFP(세계식량계획) 사무총장은 최근 한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일부 국가가 만약 농작물 수출을 하지 않는다면, 식량 배급이 느려져 영양실조가 증가해 코로나19나 전염병에 취약한 개발도상국에서의 피해가 늘어 날 것”이라고 밝히면서 “식량 수출 중단 뿐만아니라 경기 침체로 인해 자금 지원이 끊기면 매일 15만명이 사망할 수 있다”는 걱정스런 전망을 내놨다.
이 같은 상황은 우리나라 정부도 인지하고 있다. 김용범 기획재정부 1차관은 지난달 10일 “러시아, 베트남, 우크라이나 등 국제 주요 식량 생산국들이 식량 수출을 제한하고 있다”고 전하면서 “각국의 수출 제한 조치가 장기화될 것에 대비해 국제 곡물시장 모니터링 등을 통해 선제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처럼 코로나19로 인한 식량 위기설이 제기되는 등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앞서 2007년과 2010년에 발생했던 애그플래이션(Agflation) 당시 곡물수출국들의 수출 제한으로 발생한 세계적인 곡물 파동을 경험한 바 있다. 당시 우리나라는 밀 가공식품과 사료가격이 급등해 큰 어려움을 겪었다.
코로나19가 원인이 되고 있는 지금과는 상황이 다르지만 이번 코로나19 사태는 파동을 넘어 식량위기를 낳을 수 있다는 전망이 쏟아지고 있다. 코로나19 상황에서 설상가상으로 이상기후라도 발생되면 더욱 심각한 식량위기 사태가 도래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식량 자급률은 쌀과 콩을 제외하면 대부분 30% 미만이다. 때문에 식량위기에 대비한 식량주권의 강화는 우리나라가 앞으로 풀어야할 핵심적인 과제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지속적으로 대비하고 준비해야 한다.  
결론적으로 식량자급력을 확보해 식량자급률을 꾸준히 높여야 한다. 식량자급률 향상은 식량주권을 강화시킨다.
축산업 분야도 예외일 수 없다. 우리나라 축산물의 자급률은 소고기의 경우 30%대, 유제품은 지속적으로 떨어져 50% 미만이며, 돼지고기는 70% 아래로 내려갔다.   
축산물 유통업계에 따르면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미국이나 유럽 등 축산물 수출국들이 수출작업장을 폐쇄하거나 가동률을 크게 줄이고 있다. 이대로라면 축산물 수입이 언제든지 중단될 수 있고 공급부족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앞으로 또 다른 제2의 코로나 사태가 발생할 가능성은 다분하다. 식량안보 차원에서라도 축산물 자급률 향상에 힘써야 한다.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