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코로나19 사태로 농축산업계의 일손부족 문제가 더 심화되고 있다.
필리핀, 베트남 등 인력 송출국의 출국금지 및 국내 입국제한 조치로 인력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것이다.
실제 올 상반기 도입 예정이던 외국인노동자 입국은 사실상 무산된 것으로 봐야한다는 게 관계자들의 공통된 견해다.
특히 본격적인 농번기가 다가오며 농촌에서는 외국인력 구하기가 ‘하늘의 별따기’다.
전국적으로 노지 채소수확과 과수 인공수분, 적과, 봉지 씌우기 등 농작업이 집중되면서 수요는 폭증한 반면 공급은 턱없이 부족한 까닭에서다.
이에 농가에선 외국인노동자 모시기 경쟁이 벌어지며 지난해 7~8만원 수준이던 일당은 올해는 10만원에도 구하기 힘든 상황이다.
축산업계 역시 코로나19로 인해 인력난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특히 대구·경북지역의 상황은 더 심각하다.
코로나19로 인한 불안감이 커지며 외국인노동자들이 단체로 일을 그만두는 등 농장 이탈률은 가히 엑소더스(대탈출) 수준이다.
이에 농식품부는 대체인력 확보를 위해 외국인노동자의 근로조건을 한시적으로 완화한 바 있다.
먼저 국내 체류 중인 방문동거(F-1) 외국인, 고용허가제(E-9) 외국인 근로자 중 사업장 변경 대기자에 대해 한시적으로 계절 근로를 허용했다.
또한 고용허가제 외국인노동자 중 농축산업에 취업 후 사업장 변경을 희망하는 650명에 한해 1년 미만의 단기 근로계약을 체결할 수 있도록 했다.
아울러 일손부족이 예상되는 시·군에 농촌인력중개센터 30개소를 추가 지원해 100개소로 확대 운영한다.
이같은 농축산업계의 현안 해결을 위한 정부의 노력은 환영할 만 하다.
하지만 업계의 일손부족을 해결하기 위해선 아직도 가야할 길이 멀다. 축산농장이나 시설재배농가 등 가족만으로 노동력을 충당할 수 없는 현장에서는 외국인노동자가 도입되지 않으면 올해 농사를 망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정부는 일손부족으로 파생될 농축산인들의 애로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더욱 힘써야한다.
정책자금 지원 등 각종 유인책으로 도시민을 농촌으로 이끄는 방안도 좋은 예다.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