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사철 맞물려 대응 난감
먹이 유인·적정 위치 선정
포획 틀·트랙 효과 극대화
울타리 보강·차단 더 강화

 

 

 

ASF 중앙사고수습본부가 봄철 ASF 방지에 총력을 기울인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관계부처가 협력해 야생멧돼지 개체수 저감과 폐사체 제거를 확대하고, 양돈장 차단 방역 강화를 위한 점검을 실시한다.
ASF는 지난해 10월 9일 이후 사육돼지에서는 더 이상 발생하지 않고 있지만, ASF 감염 야생멧돼지는 화천군(170건), 연천군(165건), 파주시(81건), 철원군(23건) 지역에서 총 439건(25일 기준)이 발생했다.
정부는 3월 말 이후에는 야생멧돼지 출산기로 개체수가 급증하고, 농사철을 맞아 발생지역 내 차량·사람의 출입이 늘어나면, ASF 대응에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 농식품부·환경부·국방부는 봄철 ASF 방역에 총력을 다 한다고 강조했다.


# 야생멧돼지 포획 방식 다변화
환경부는 야생멧돼지 포획방식을 다변화하고, 수색을 확대해 폐사체 제거에 나서는 한편, 광역울타리를 보강한다는 계획이다.
광역울타리 내 야생멧돼지 개체수를 줄이기 위한 포획 활동을 계속 추진하고, 포획틀(440개→515개)과 트랩(220개→625개) 설치도 늘려나간다. 시·군별로 포획틀 관리반을 운영해 먹이 유인과 적정 위치 선정 등을 통해 포획틀과 포획트랩의 설치 효과를 극대화할 예정이다.
광역울타리 외곽지역은 경기도와 강원도 총 8개 시·군에 포획벨트를 설정하고, 남쪽에서 북쪽으로 집중포획을 실시하는 등 야생멧돼지 개체수 저감에 노력한다. 8개 시·군은 강원지역은 양구·춘천·인제·고성, 경기지역은 포천·가평·양주·동두천 등이다.
야생멧돼지 폐사체를 신속히 제거하기 위해 포천·양구 등 발생지역 주변을 포함한 8개 시·군을 81개 구역으로 구획화하고, 미확인 지역으로 남아있는 산악지대도 폐사체를 대대적으로 수색할 계획이다.
연천에서 포천으로의 확산 방지를 위해 한탄강 이남에 광역울타리를 추가 설치한데 이어 화천군 소재 파로호 남측에 설치 중인 광역울타리도 3월 중에 완료할 예정이다. 3월 말까지 동쪽에서 서쪽 방향 횡단 광역울타리와 양구 남북 종단 울타리 등 기존 광역울타리에 대해 마을구간(47개소) 보강도 완료할 계획이다.
농식품부와 국방부는 비무장지대 일원, 양성개체 발생지점 주변 야생멧돼지 서식처와 인근 농경지, 접경지역 하천, 영농인의 민통선 출입 차량 등 환경 시료를 주기적으로 조사해 바이러스 확산 상황 모니터링을 지속 한다.
국방부는 민통선 이북지역 총기포획을 민간 전문 수렵인과 합동으로 실시하고, 야생멧돼지 폐사체 수색활동도 확대하기로 했다. 접경지역과 산악지대 등 방역이 어려운 지역에 대한 항공 방역과 비무장지대 일원 통문 출입 차량·인원에 대한 방역 조치도 강화한다고 밝혔다.              
농식품부는 ASF가 농장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농장단위 방역조치를 대폭 강화한다고 밝혔다.
농장주변과 축사 내부로 야생조수류·쥐·파리 등 매개체와 차량·사람에 의해 ASF가 유입되지 않도록 울타리와 조류차단망, 방충망 등 방역 시설 설치, 농장 세척·소독, 생석회 벨트 구축 등 방역조치와 손 씻기, 장화 갈아신기 등 9개 분야 23개 농장별 방역 수칙을 구체화했다. 관련 내용을 전국 6300개 농장에 모두 배포했다.
농장단위 방역조치가 신속히 이행될 수 있도록 전국 6300개 양돈농가별로 전담 컨설턴트(955명)를 지정했다. 이들 농협 소속 컨설턴트들은 지난 20일, 21일 전화로 농장의 방역시설 및 차단방역 실태를 점검했다. 컨설턴트 한명이 10여명의 농장 대표와 통화를 실시했다. 4월부터는 중앙·지자체 합동 점검반을 편성해 전국 양돈장의 방역조치를 점검해 법령 위반사항은 패널티를 부과한다는 계획이다.
ASF 중수본 관계자는 “영농철 발생지역으로 사람의 출입이 증가할 경우 ASF 확산이 우려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