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동물약품 시장규모는 2010년 201억불에서 2014년 239억불, 2018년 340억불(약 40조원)로 증가했다. 향후에도 시장규모는 연평균 6%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축종별로는 산업동물용이 62%, 반려동물 및 기타 38%, 품목별로는 항생제 등 화학제제가 58%, 백신 등 생물학적 제제가 30%로 집계됐다.
우리나라 동물약품 내수시장 규모는 2018년 기준 7884억원인데, 국내산이 4687억원, 수입산이 3197억원으로 수입산의 점유율이 41%에 달하고 있으며, 매년 수입산의 점유율은 증가하는 추세다.
국내에 진출한 다국적 동물약품 기업의 경우 이름만 들으면 바로 떠오르는 제품군이 꽤 있다.
그러나 국산 동물약품을 생각하면 대표 제품이 선뜻 떠오르지 않는다. 다국적 동물약품에 비해 상대적으로 브랜드력이 떨어지는 것이 현실이다. 이는 국내 동물약품 업계가 카피(제네릭) 제품에 치중하고, R&D에 소홀했던 결과다.
지난해 한 다국적 기업이 갖고 있던 신항균물질 특허가 풀리자 국내 10여개가 넘는 동물약품 회사가 카피 제품 출시를 진행하거나 준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올해 상반기에는 이 카피제품들이 국내 시장에 쏟아져 나올 전망이다. 이 같은 현상은 이전부터 있어왔고 현재도 진행형이다. 이처럼 국내 동물약품 시장은 카피 제품에 대한 의존도가 높다.
국내 동물약품 업체는 글로벌사에 비해 영세한 규모로 매출 대비 R&D 투자비율이 낮아 자체 R&D를 통한 문제해결에 어려움이 있다. 업계는 이러한 여건상 신물질 개발이 어렵다고 토로한다. 그러나 이 같은 현상이 앞으로도 지속된다면 내수시장은 물론 세계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없다.
지금까지 정부 차원의 동물약품 R&D는 과제 기획·선정·수행 등 전주기에 걸쳐 대학 또는 연구자 중심으로 진행돼 업계가 요구하는 R&D 수요를 반영·해결하는데 미흡하다는 지적이 있다.
또한 R&D 투자가 구제역이나 AI 등 국가재난형 질병 중심으로 제한적으로 진행돼 질병, 품목 등 지원 분야의 확장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를 주관하는 농림축산검역본부 또한 산업체 공동연구 등을 통해 업계를 지원하고 있지만 업계의 요구를 모두 반영하기에는 연구 인프라가 부족한 상황이다.
여기에 동물약품 개발에 지원되던 농림축산식품부 ‘가축질병대응기술개발’ 사업이 2021년 종료될 예정이다. 농식품부는 이의 후속사업으로 다부처 동물감염대응 기술개발 사업을 신설 준비 중에 있다.
올해 가축질병대응기술개발 사업 중 동물약품개발 연구과제에는 34억원(계속과제 16억원, 신규과제 18억원)의 예산이 계획됐다. 
내수경쟁력·수출시장 확대를 위해서는 브랜드력 강화가 절실하다는 것을 인식한 정부도 R&D 지원 방향을 업계 중심으로 개선한다는 방침을 내세웠다.
이의 일환으로 농림축산검역본부는 지난 14일 국내 동물약품 업계의 R&D 수요를 발굴·수렴하기 위한 현장 간담회를 열었다.
아쉽게도 이날 간담회에 국내 동물약품 업체 관계자들의 참석율은 저조했다. 공무원 참석자가 업체 관계자들보다 많은 회의 모습은 동물약품 업계의 R&D 의지가 그대로 비춰진 듯 해 씁쓸함을 더했다.
정부가 동물약품 R&D에 대한 강한 지원 의지를 보이고 있는 만큼 동물약품 업계도 R&D에 더욱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