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회서 정부 입장 재확인
농가, “차단방역만으로 부족
단계적으로 살 길 열어줘야”

 

ASF 피해농가들이 돼지 재입식 로드맵 마련 및 안전한 지역 우선 재입식 허용을 요구했지만, 정부는 야생멧돼지에서 ASF가 검출되는 상황에서 재입식 시기 특정은 없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지난 7일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야생멧돼지 ASF 확산 방지대책 국회토론회’에서 ASF 피해농가와 정부는 이 같이 돼지 재입식에 대한 분명한 시각차를 보였다. 이날 토론회는 황주홍 농해수위원장(민주평화당), 김현권 농해수위원(더불어민주당) 주최, 본지와 대한한돈협회 공동주관으로 열렸다.
이준길 ASF 피해농가 비상대책위원회 비대위원장은 “이제는 재입식 로드맵을 제시해야 할 때”라며 “김포와 강화는 멧돼지가 없는데 왜 재입식이 안되는지 모르겠다”고 지적했다.
또 “로드맵이 없는 상태에서 직원들을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다”며 “차단 방역시설이라도 어떻게 개선해야 할지 알려주면 노느니 그거라도 고치지 않겠나”라고 말했다.
파주에서 42년 동안 양돈을 하고 있다는 한 농가는 칠레는 멧돼지 개체수 저감 노력으로 단기간에 ASF 청정화를 달성했지만, 스페인은 울타리 치고 차단방역만 강조했기 때문에 ASF 박멸에 30년이 걸렸다고 설명했다. 그는 “환경부는 환경을 보호할 의무가 있지만, 이로 인해 국민을 아프게 해서는 안 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밖에도 다수의 농가들은 “과연 몇 달 동안 야생멧돼지가 안 나와야 재입식이 가능한가”라며 “이는 ASF 피해 지역 양돈장을 모두 없애겠다는 것과 같은 말”이라고 한탄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ASF 양성 야생멧돼지 발견이 계속되는 지금의 상황에서는 재입식을 허가 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이제용 농식품부 구제역방역과장은 “재입식은 발생위험이 제거되지 않으면 실시할 수 없다”며 “야생멧돼지에서 ASF가 지속 검출되고 있기 때문에 위험도가 높은 상황”이라고 밝혔다.
또 “위험성이 적은 지역 우선 입식도 동의할 수 없다”며 “지금의 상황에서 돼지를 입식할 경우 ASF가 추가 발생하지 않을 것이란 보장이 없다. 지금은 재입식 시기가 아니다”라고 전했다.
이 과장은 철원 지역 이동제한 해제와 관련해서도 “돼지이동 과정에서 환경이 오염될 우려가 있다”며 “단 1%라도 ASF 전파 가능성이 있어면 재입식은 안 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