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4 계약농가나 발 묶이자
전체 사육마릿수 36% 감소
물량 확보 어려워 산업 흔들

 

오리 휴지기제 시행으로 겨울철 오리고기 공급량이 급감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로 인해 관련업계의 피해가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최근 농촌경제연구원이 발표한 ‘2020년 농업전망’에 따르면 지난 2018/19년 오리 사육제한은 2018년 11월부터 2019년 2월까지 4개월간 실시됐으며, 이로 인해 약 14.6%의 사육마릿수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2018년 12월부터 2019년 4월까지 도압마릿수는 총 2553만9000마리로, 시행하지 않았을 경우인 2990만9000마리보다 약 437만 마리가 감소했다.
문제는 이같은 오리 휴지기제가 매년 겨울 반복적으로 시행중이라는데 있다.
지난 2017년 평창 동계올림픽 개최 당시 고병원성 AI 발생 및 확산방지를 위해 처음 도입된 오리 사육제한은 2018/19년 겨울에 이어 올 겨울인 2019/20년에도 시행되는 등 3회째를 맞았다. 
때문에 관련업체들은 오리 휴지기제에 대해 강한 불만을 토로하고 있는 실정이다.
기업 경영을 위해선 안정된 물량 확보가 전제돼야 하는데 휴지기제 시행시마다 물량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어 매해 겨울마다 실시될 경우 오리산업 전체가 근본적으로 뒤흔들릴 수 있다는 것이다.
계열업체별 사육제한 현황이 이의 반증이다.
오리협회에 따르면 2019/20년 오리 휴지기제로 인해 2019년 11월 1일 기준 전체 계약농가의 30.8%인 204농가의 발의 묶였으며, 이로 인해 전체 사육마릿수의 36.1%인 336만6400마리가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또한 계열업체별로 적게는 18.5%에서 많게는 69.5%의 사육마리수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기업 경영에도 빨간불이 켜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김만섭 오리협회장은 “오리휴지기제에 따른 농가피해는 보상을 해주는 반면, 도축장, 가공장 등 관련 종사자에 대한 지원 방안은 전무한 까닭에 업계의 타격이 상당하다”면서 “계열업체의 피해는 곧 농가 피해로 직결될 수 있는 만큼 휴지기제 대신 사육시설 개편 등 근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