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만<농림부 농산물유통국장>

 
개방화시대를 사는 현대인들은 늘어나는 농산물 수입, 전반적인 생활수준 향상 등으로 농식품 소비패턴 역시 빠르게 변하고 있다. 최근 학교급식으로 인한 집단 식중독사건 등 식품 안전사고가 자주 일어나면서 식품 안전성문제가 중요한 사회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식품과 식품업계에 대한 소비자들의 불신도 매우 높아지면서 식품의 생산·유통에 관한 정보에 대한 관심도 커지고 있다. 소비자들이 농약, 비료사용 등 농산물의 생산과 출하과정 등에 대한 정보를 요구하기 시작한 것이다.
1996년 유럽대륙에 발생한 광우병은 소비자가 식품의 생산 이력정보와 유통경로의 투명성 확보에 관심을 갖게 만들었다. 결국 유럽연합(EU)은 쇠고기를 중심으로 이력추적제(Traceability)를 시작했고, 급기야 지난해부터 모든 농산물에 대한 이력추적제가 의무화됐다.
우리나라도 2003~지난해까지 3년 동안 친환경인증 농산물 수박, 딸기 등 42개 품목에 대해 시범사업을 실시했고, 지난해 8월 농산물품질관리법을 개정하는 등 제도적인 시행근거를 마련해‘농산물 이력추적관리제도’를 도입했다.
식품의 생산이력과 유통경로의 투명성에 대한 소비자들의 요구는 갈수록 커지고 있다. 사진은 충남 부여에서 굿뜨래 브랜드를 달고 출하되는 멜론 이 제도에 참여하는 농산물은 생산~판매단계까지 이력정보가 꼼꼼하게 기록·관리된다. 또 로고와 이력추적관리번호를 표시한 라벨을 부착해 유통하게 된다.
이러한 추적시스템을 통해 어떤 농산물이 어떤 단계에서 문제가 발생하였는지 신속하게 원인을 규명하고, 리콜·폐기 등 필요한 조치를 할 수 있게 된다. 농산물의 이력서 제도인 셈이다.
농산물의 생산·유통·판매단계까지 이력추적관리를 강화하기 위해 '농식품안전정보시스템(www.agros.go.kr)'을 구축한 결과 소비자들은 인터넷을 통해 상품에 표시된 이력추적관리번호를 입력하면 농약 등 농자재 사용 내역을 바로 볼 수 있게 됐다. 또 생산자의 연락처와 홈페이지 등 상세정보도 파악할 수 있다.
현재 이 시스템에 6488 농가가 등록돼 있다.
생산자와 소비자 모두에게 이익
‘농산물이력추적관리제도’에 참여하고자 하는 농산물 생산·유통·판매자는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에 등록해야 한다. 생산자는 이력추적 농산물의 생산과 출하에 관련된 이력정보를 기록·관리하고, 다른 농산물과 구분하는 등 이력추적관리 기준을 준수하여야 한다.
생산자 입장에서 볼 때 이 제도가 매우 까다로운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소비자는 보다 안전하고 믿을 수 있는 농식품을 원하고 있다는 점을 잊어서는 안된다.
소비자는 내가 구입한 농식품이 언제, 누가, 어떤 방식으로 생산해서 어떤 사람의 손을 거쳐 왔는지를 알고 싶어 한다. 생산과 유통과정을 투명하게 공개하고 증명해 보여 주는 것이야 말로 소비자의 신뢰를 확보하는 첩경이다.
우수농산물관리제도(GAP, Good Agricultural Practices)에 따라 우수농산물로 인증받으려면 생산자가 반드시 이력추적관리제도에 참여해야 한다. 이력추적관리제도가 정착되면 생산자, 소비자 모두 혜택이 돌아갈 것이다.
또 농약이나 비료 등 영농자재 사용내역 등 농산물의 생산에 관한 이력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게 돼 소비자들의 신뢰가 더 높아 질 것으로 기대된다. 국산농산물이 수입농산물과 차별화돼 경쟁력도 높아질 것이다.
이력추적관리제도는 생산자와 소비자 모두에게 이익이 되는 '윈-윈 전략’인 것이다.
농림부는 농산물 수입개방화에 따른 농업분야 경쟁력제고를 위해 농식품 안전관리를 강화할 방침이다.
오는 2013년까지 과실, 채소 등 유통물량 중 이력추적 등록 비중을 10%까지 확대할 것이다.
내년에는 우수농산물관리제도(GAP)나 농산물이력추적관리제도가 시행초기인 점을 감안, GAP 위생시설 보완, 이력추적정보시스템 인프라 구축 등에 38억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농식품 안전문제는 정부의 제도적 뒷받침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다.
생산자는 물론 유통·판매업자, 소비자 등 모든 국민이 관심을 기울일 때 우리의 식탁에 ‘안전한 농식품’을 올릴 수 있을 것이다.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