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우 지혜로워 사물의 본질 꿰뚫어

천지개벽 신화에서 ‘영물’
타 동물보다 번식력 왕성
‘부의 상징’으로 떠받들어
쥐띠 해에 태어나면 부자

각종 실험에 희생되면서
인류 발전 기여하는 동물
고양이 불러 농장 침투케
방역 차단 무력화 양면성

2020년은 쥐띠의 해다. ‘한국 띠동물의 상징체계 연구(저자 천진기)’ 자료에 따르면 12지의 첫 자리인 쥐(子)는 육십갑자 가운데 갑자(甲子)·병자(丙子)·무자(戊子)·경자(庚子)·임자(壬子)의 순서를 거친다. 십이지의 쥐는 정북(正北)과 오후 11시에서 새벽 1시, 달로는 음력 11월을 지키는 방위신(方位神)이자 시간신(時間神)이다.
12지의 하나로서 쥐를 활용하는 전통은 신라 시대 때부터 나타난다. 김유신 묘나 흥덕왕릉 등지에서는 쥐를 형상화한 띠 동물상을 무덤 주위에 두르거나, 쥐 조각상을 무덤에 넣기도 했다.
이후 조선 시대에 들어와서는 쥐의 생태를 사실적으로 묘사한 쥐 그림이 많아졌다. 그 중 신사임당의 ‘수박과 쥐’ 그림은 쥐 두 마리가 수박을 훔쳐 먹는 장면이 나온다.
겸재 정선의 ‘서투서과’ 그림에서도 쥐가 수박을 갉아먹는 모습이 나오는데, 쥐의 생태와 습성을 사실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가야 지역에서 출토된 가옥형 토기에는 쥐와 고양이가 꽤 등장한다. 이 그림에서 고양이는 지붕 꼭대기에서 곡식 창고를 올라오는 쥐를 노려보고 있다. 이것으로 볼 때 예나 지금이나 곡식 창고나 뒤주의 주인은 쥐였음을 알 수 있다.
2020년 경자년(庚子年)은 육십간지의 37번째 해이다. ‘경’은 백이므로 ‘하얀 쥐의 해’이다. 하얀 쥐는 쥐 중에서 가장 우두머리이자 매우 지혜로워서 사물의 본질을 꿰뚫는데다 생존 적응력까지 뛰어나다고 알려졌다. 인간의 생로병사를 위해 각종 실험에 희생되며, 인류 발전에 기여하고 있는 동물 또한 하얀 쥐다.
“먼 옛날, 하늘의 대왕이 동물들에게 지위를 주고자 했다. 대왕은 그 선발 기준을 어떻게 할까 고민하다 정월 초하루에 제일 먼저 천상의 문에 도달하는 동물부터 지위를 주겠다고 했다. 이 소식을 전해들은 각 동물들은 기뻐하며 저마다 빨리 도착하기 위한 훈련을 했다. 그 중에서도 소가 가장 열심히 수련을 했다. 각 동물들의 이런 행동을 지켜보던 쥐는 작고 미약한 자기로서는 도저히 먼저 도착하기가 불가능하다고 판단, 제일 열심인 소에게 붙었다. 정월 초하루가 되어 동물들이 앞 다퉈 달려왔다. 결국 가장 부지런했던 소는 제일 먼저 도착했지만 도착한 바로 그 순간에 소에게 붙어 있던 쥐가 뛰어내리면서 첫 번째로 문을 통과했다. 소는 분했지만 두 번째가 될 수밖에 없었다.” 이는 12간지에 대한 유명설화다. 해당 설화를 두고 쥐를 ‘희망’과 ‘기회의 상징’으로 묘사했다는 풀이도 있다.
옛날 사람들은 쥐가 사람의 손발톱을 먹고 사람으로 둔갑해 사람행세를 한다고 믿기도 했다. 그래서인지 어릴 적 시골 할머니께서 손·발톱을 깎고 잘 버리라고 말씀하신 기억이 있다.
‘한·중 12띠 동물의 상징의미 대조를 통한 한국어 교육용 관용어 연구(저자 이엽)’ 논문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쥐는 양면성을 띤 동물로 인식돼 왔다고 밝히고 있다. 즉 쥐는 긍정적 의미와 부정적 의미를 동시에 가진 동물이라는 것.
또한 우리나라의 천지개벽 신화에서 쥐는 영물로 나타난다. 물과 불의 근본을 알고 있어 사람에게 가져다주는 영물뿐만 아니라 인간이 나타나기 전부터 존재하는 생물이고 인간이 나온 후에도 인간과 같이 공존해 왔다. 문헌을 보면 쥐는 미래를 알고 있어 미래에 대해 어떤 사실을 암시할 수 있고 신성이 있는 동물이다.
또 쥐는 다른 동물보다 더 왕성한 번식력을 갖고 있어 사람에게 부유의 상징으로 여겨지고, 부지런히 먹이를 많이 모아 놓고 부를 가져다주는 존재라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 설화에 ‘혼쥐’라는 이야기가 있다. 해당 설화에 따르면 어느 날 도둑질을 생업으로 하는 남편이 낮잠을 잘 때 작은 생쥐 한 마리가 그의 코 안에서 기어 나왔다. 바느질하던 그의 처가 이를 보았고, 그녀는 이 생쥐가 다닐 수 있게 길을 터줬다. 그러자 그 생쥐는 황금단지 속으로 들어갔고, 남편이 잠을 깬 뒤 부부는 들판에서 황금단지를 찾아 크게 부자가 됐다.
사람이 잠을 자면 혼이 쥐가 되어 바깥을 돌아다니는데, 이때 겪은 것을 꿈이라고 한다. 그래서 쥐띠가 밤에 태어나면 부자로 산다는 말이 생긴 것이다.
쥐는 쉴 새 없이 움직이는 부지런한 동물이기도 하고, 먹을 것을 조금씩 모아 쌓아 두는 습성이 있어 저축과 절약도 잘하는 동물로 알려졌다.
이렇듯 영물로 인식되어 긍정적인 이미지를 가진 한편 쥐는 작고, 하찮고, 비천하고, 병을 옮길 수 있는 동물로 사람에게 배척을 당하며, 탐욕의 대명사로 허영을 부러워하며 추구하는 부정적인 인식도 있다.
정월에 들어 첫째 자일은 상자일(上子日), 일명 ‘쥐날’이라고 한다. 이날 농부들은 쥐를 없애기 위해 풍년을 기원하며 들에 나가 논과 밭두렁을 태우는 쥐불을 놓는다. 이 쥐불 놓기는 보름달의 달맞이 풍속과 겸해 쥐불놀이와 함께 행해졌다. 
축산업에서 쥐는 박멸해야 하는 대상 중 하나다. 쥐는 높은 담장이나 울타리도 뛰어넘어 질병 바이러스에 감염된 부산물을 축산농장 안으로 전파시키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쥐는 번식력이 엄청나 쥐 암수 한 쌍이 연간 2만 마리 정도를 번식할 수 있으며, 농장에서 낮에 쥐 한 마리가 보인다면 그 농장에는 이미 500마리 정도의 쥐가 서식하고 있다고 본다. 
더불어 쥐가 많아지면 덩달아 야생고양이의 출몰도 늘어나는데, 야생고양이는 행동반경이 2~3km에 달하며, 아무리 높은 담장이나 울타리도 뛰어넘어 농장에 침입할 수 있기 때문에 야생멧돼지 사체나 ASF에 감염된 부산물을 농장 안으로 전파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으므로 야생고양이 출몰을 막기 위해서라도 농장 내·외부 구서작업은 필수다. 이처럼 쥐는 농장의 차단 방역을 무력화시키는 주범으로 꼽힌다. 
문헌에 따르면 경자년의 경(庚)은 금(金)이고 자(子)는 수(水)다. 이른바 ‘경’은 오행상 큰 바위 혹은 광산에서 캐낸 원철이며, ‘자’는 오행상 큰물을 의미한다. 따라서 ‘큰 바위에서 물이 콸콸 솟음’, 혹은 먹구름(庚)이 큰 비(子)가 되는 것으로 풀이된다.
즉 2020년에는 힘들고 어려운 일이 있더라도 바위처럼 흔들림 없는 버팀이 있을 것이다. 쥐띠 해는 풍요와 희망 기회의 해로 불린다. 축산인 모두가 윤택해지는 2020년 경자년 한해가 되길 소망한다. 박정완 기자
 

초등학생들과 쥐 복주머니 만들기 행사

 

농협중앙회 농업박물관은 지난달 21일 초등학생 30명을 초청해 쥐에 얽힌 속담 및 이야기를 소개하고 ‘쥐 복주머니 만들기 행사’열었다.
이날 인터넷으로 참여를 신청한 초등학생들은 쥐 모자와 쥐 복주머니를 만들면서 옛 농경문화에서 쥐가 가져다 주는 풍요의 의미를 되새겨 보는 소중한 시간을 가졌다.
대형 흰쥐 모형앞에서 참여한 모든 초등학생들은 직접 만든 쥐 모자와 쥐 복주머니를 착용하고, 경자년에는 농업인들이 풍성한 수확의 기쁨을 통해 농가소득 5000만원을 달성할 수 있는 해가 되기를 기원했다. 권민 기자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