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금]

 

‘사분오열’‘지리멸렬’로 얼룩

 

양계협 종계분과위 독립
육용종계협회로 새 출발
산란계서도 ‘산사모’ 출범
전문세분화 내세워 분가

 

난각 산란일자 성과 못내
여파 계란 가격 상승으로
오리 휴지기제 업계 몸살
사육시설 개편 주력 촉구

 

 

올해 기해년 역시 가금업계에 있어 다사다난한 한 해였다.
2019년을 요약하자면 ‘사분오열’과 ‘지리멸렬’로 얼룩진 한 해가 아니었나 싶다.
첫 발을 뗀 건 육용종계부화협회였다.
양계협회 종계분과위원회가 양계협회에서 독립해 지난 6월 초 한국종계부화협회 창립총회를 연데 이어, 중순에는 국내 산란계 200여 농가가 참여한 산사모(산란계를 사랑하는 사람들의 모임)가 본격 출범했다.
초대 회장은 각각 연진희 씨와 송복근 씨가 맡았다.
최근 품목단체는 전문화·세분화해 움직이고 있다는 것. 때문에 작금의 위기를 타개하기 위해선 해당 종사자들이 직접 나서서 해결해야 한다는게 이들의 판단이었다.
내년 4월 25일 식용란선별포장업 본격 시행에 앞서 관련단체들도 창단됐다.
지난 9월에는 식용란선별포장업협회가, 11월에는 계란유통협회 산하에 식용란선별포장업위원회가 꾸려져 본격 활동에 나섰다.
하지만 기존 양계협회 내에 종계 및 채란분과위원회가 있는데다, 협회 업무와 중첩되는 부분이 많은 까닭에 이같은 유사단체의 출범에 대해 우려의 목소리도 터져 나왔다.
위태위태하던 닭고기자조금은 결국 해체위기에 놓였다.
계열업체들이 자조금 납부에 사실상 손을 뗀 상황에서 육계사육농가협의회까지 납부중단을 선언한데 이어, 닭고기자조금 폐지를 위한 농가 연대서명이 추진됐다.
이같은 닭고기자조금 폐지요청 접수에 따라 대의원회를 소집해야 하지만, ASF 발생에 따른 축산농가 행사 참여금지 조치에 따라 대의원회는 열지 못하고 있는 상태다.
난각 산란일자 표시 시행도 빼놓을 수 없는 이슈다.
양계협회가 난각 산란일자 표시 시행을 막기 위해 △식약처에 대한 감사 요청 △집행정지 가처분 신청 △식약처장 고발 △70일간의 천막농성 등을 진행했지만 6개월의 계도기간만 얻었을 뿐 큰 성과를 내지 못했다. 
또한 산란일자 표시의 여파는 계란 가격상승을 견인했다.
지난 8월 23일 산란일자 표시 본격 시행에 앞서 계란 재고부담을 줄이기 위해 산란성계 도태가 급증한 까닭이다.
실제 7~8월 산란성계 도태마릿수는 각각 351만9000마리와 317만2000마리로 전년 146만6000마리, 81만8000마리보다 약 3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계란가격은 추석 이후 급락할 것이라는 기존 예상을 뒤엎고 인상을 거듭하는 등 강세를 띄고 있다.
반면 닭고기시장은 연중 하향곡선을 그렸다. 특히 ASF로 인한 대체소비 증가에도 불구, 닭고기가격은 하락세를 보이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종계 증가에 따른 병아리 생산량 증가로 육계 사육마릿수가 급증한데 따른 것.
농경연에 따르면 1~10월 육용종계 입식마릿수는 전년보다 12.2% 증가한 700만 마리였으며, 올해 총 종계 입식마릿수는 820만 마리 내외로 추정되는 등 닭고기 공급과잉은 내년까지 지속될 전망이다.
계분 처리비용 급증도 육계농가들을 울상 짓게 한 요인 중 하나였다.
지난해까지 한 차당 10~20만원 수준이었던 계분 처리비용은 현재 한 차당 30만원까지 인상돼 농가들은 사육경비 급증으로 골머리를 앓았다.
아울러 육계협회는 김상근 호가 본격 출항키도 했다.
오리의 경우 올해에도 겨울철 휴지기제에 따른 후폭풍으로 업계 전체가 몸살을 앓았다.
특히 올해 오리가격은 고공행진을 이어갔던 지난해와 달리 바닥을 쳤다.
휴지기제로 인한 오리가격 고공행진을 경험한 계열업체들이 돌아오는 휴지기에 대비해 냉동 비축물량을 늘렸고, 그 결과 올해는 역대 최악의 판매시세와 냉동재고 등의 문제로 인해 곤혹을 치렀다.
때문에 오리업계에서는 휴지기제 대신 근본적인 문제인 사육시설 개편에 주력해야 한다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다. 김기슬 기자 kimkija@chukkyung.co.kr

 

 

[한돈]

 

ASF·가격폭락…참혹한 결과

 

40여만 마리 수매살처분
현실 동떨어진 보상 대책
“차라리 신고 않고 버틴다”
한돈농가들 반발에 부딪혀

출하 마리수 최대치 경신
등급 판정 1700만 여 마리
평균가 kg당 4000원 이하
수입량은 크게 줄지 않아

 

60년 만에 찾아온 기해년(己亥年) 황금돼지해가 저물어 간다. 황금돼지는 재물이 많이 따르고 큰 복을 상징한다는 속설에 많은 이들이 연초부터 대운(大運)을 기대했다. 그러나 한돈농가들이 마주한 현실은 참혹했다.
농가들은 1년 내내 낮은 돼지가격으로 힘겨운 시간을 보냈다. 2월과 10월에는 돼지 가격 폭락으로 돼지를 출하할 때마다 마리당 8만원 이상의 손해를 봤다. 국내 첫 ASF 발생은 큰 충격을 안겨줬다. 그 여파는 지금도 계속된다.
올해 업계 최대 이슈는 ASF 발생이다. 9월 17일 경기 연천에서 첫 발생 한 이후 사육돼지에서 14건이 확인됐다. ASF 발생 지역은 △파주(5건) △연천(2건) △김포(2건) △강화(5건) 등이다. 다행히 10월 9일 이후에는 발생이 없다.

 

정부는 11월 8일까지 125농장에서 사육 중인 돼지 6만 5557마리 수매를 완료했다. 15일까지 ASF 발생농장을 포함해 돼지 38만 963마리를 살처분 했다. 이에 ASF로 총 44만 6520마리를 수매·살처분 했다.
정부는 긴급행동지침(SOP) 보다 과감한 방역조치를 실시했다. 예방적 살처분을 확대하고, 돼지와 가축분뇨, 차량의 이동 통제가 장기화 됐다. 바이러스가 한강 이남으로 확산되지 않도록 북한 접경지역을 위험도에 따라 발생­완충­중점관리 지역으로 구분했다. 농장별로 초소도 운영했다.
해당 농가들에 대한 정부 보상 규모가 관심을 모은다. 대한한돈협회는 ASF 소득안정자금 지원 지침에 ‘영업손실 보전’ 명시를 정부에 요청했다. 살처분 농장에서 매출이 발생할 때까지 평균 수익과 통상고정비(인건비, 공과금 등 최소 유지비용)를 합친 금액을 정부가 보상해야 한다는 내용이다. 정부가 이를 받아들일지는 미지수다.
농가들이 정부 보상에 실망할 경우 ASF를 포함해 새로운 해외악성가축전염병 유입시 초동 방역이 늦어질 수 있다. 자칫 ‘어차피 망할 거라면 신고를 않고 버티겠다’는 생각이 들지 않도록 하는 것은 정부 몫이다. “정부는 SOP를 능가하는 과감한 방역을 실시한 것과 같이, SOP를 능가하는 과감한 농가 보상을 실시해야 한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야생멧돼지 폐사체에서 ASF 바이러스가 지속적으로 검출되고 있다. 12월 3일 기준 34건이나 발견됐다. ASF 조기 종식과 그동안의 노력이 헛되지 않기 위해서는 멧돼지에 대한 정확한 통제가 요구된다.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사상 최대의 돼지 출하 마릿수를 경신했다. 대한민국 양돈 역사상 처음으로 1~11월 누계 돼지 등급판정 마릿수가 1600만 마리를 넘겼다. 축산물품질평가원에 따르면 돼지 등급판정 마릿수는 1~11월 누계 1618만 1526마리를 기록했다. 지난해 동기(1582만 2373마리) 보다 35만 9153마리(2.2%) 늘었다. 12월 등급판정 마릿수가 지난해와 비슷한 150만 마리로 가정할 때, 올해(1~12월 누계) 돼지 등급판정 마릿수는 1768만 마리에 이른다.
참고로 연도별 돼지 등급판정 마릿수(1~11월 누계)는 △2017년 1525만 마리 △2016년 1499만 △2015년 1438만 △2014년 1420만 △2013년 1464만 △2012년 1271만 △2011년 983만 마리를 기록했다.
올해 돼지고기 평균 가격(1~11월, 제주 제외)은 kg당 3690원을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평균(1~11월, 제주 제외) 4211원 보다 kg당 521원이 낮은 금액이다. 2019년 돼지고기 수입량은 전년대비 12% 하락한 40만톤 내외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낮은 돼지고기 가격에도 수입량은 예상치보다 많이 줄지 않았다. 그러나 수입량 감소세는 내년까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한정희 기자 penergy@chukkyung.co.kr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