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F 발생에 따라 육가공업체들의 피해가 심각한 수준으로 드러났다. 이로 인해 식육포장처리업체들의 손실액이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어 대책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큰 이유는 돼지고기 소비감소다. ASF 발생으로 인한 소비자들의 돼지고기 기피현상으로 인해 소비위축 현상이 심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업계는 이로 인해 전체 돼지고기 소비량의 40% 이상이 감소한 것으로 보고 있다.
매일 뉴스를 도배하는 ASF 관련기사와 ASF 관련 안전안내문자로 인해 돼지고기 외면 현상이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다는 것이다.
한 업계관계자는 “구제역이 발생하면 돼지고기 소비가 줄고, AI가 발생하면 닭고기 소비가 주는 것은 필연적 수순”이라면서 “ASF 역시 돼지고기 소비가 급감하는 등 과거와 같은 패턴을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문제는 ASF 발생으로 인한 피해가 2·3차까지 이어진다는데 있다.
실제 복수의 업계 전문가들은 돼지 이동제한에 따른 피해가 상당하다고 지적했다.
과체중된 돼지는 품질하락으로 정상판매가 불가능한 까닭에 부득이 냉동육으로 처리할 수밖에 없다는 것. 또한 이동제한으로 공장가동이 중단되더라도 인건비나 감가상각비 등 일반관리비는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까닭에 적자가 누적될 수밖에 없다는게 그 이유다.
이에 따라 관련업계는 육가공업체에 대한 정부 지원이 뒤따라야 한다는 주장을 펴고 있다. 이같은 상황이 지속될 경우 자금상황이 좋지 않은 중소가공업체는 영업장 폐쇄까지 우려된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한 업계전문가는 “경기도 한수이북 중점관리지역에 위치한 가공장의 경우 타시도의 거래농장으로부터 돼지를 받을 수 없어 공급차질에 따른 판매 감소는 물론 고정비 지출로 인한 피해가 심각하다”면서 “관련업계의 피해액을 조사해 긴급경영안정자금을 지원하는 방안도 검토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물론 지금 시기가 ASF 확산방지를 위한 방역에 몰두해야 할 때임은 틀림없는 사실이다.
하지만 농가뿐 아니라 ASF로 인해 관련업계에 어떠한 어려움은 없는지, 정부는 한번쯤 주위를 둘러보길 바란다.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