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돼지열병(ASF)에 대한 범국민적 관심이 높다. 특히 그 유입 원인에 대한 수많은 추측이 난무하고 있다.
‘북한에서 유래한 멧돼지가 원인이다’, ‘멧돼지 사체가 강물에 바이러스를 섞고 있다’, ‘태풍의 영향으로 바이러스를 머금은 유기물들이 쏟아져 내려 왔다’ 등의 추론들이 있지만 정부의 다양한 역학조사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다.
이런 가운데 환경부는 최근 보도자료를 통해 멧돼지를 통한 전염 가능성이 높지 않다고 발표했다. 통일부 장관도 북한에서 바이러스가 넘어왔을 가능성은 높지 않다고 선을 그었다.
지금까지의 역학조사 결과에 근거하면 이 같은 주장이 맞을 수도 있다. 그러나 아직은 조금 이른 판단이라는 지적이 있다. 섣부른 판단은 자칫 큰 실수로 이어질 수 있다. 다양한 가능성을 모두 열어놓고 지속적인 역학조사를 실시해야 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아직까지 원인을 알 수 없지만 이미 발생한 세계 각국의 사례를 보더라도 ASF의 발병과 전파 원인이 잔반이나 멧돼지 등이 주를 이루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때문에 세계 각국은 잔반 급여 금지 및 멧돼지 개체수 감소를 위한 정책을 실시하고 있다.
스페인의 경우 잔반 급여를 금지하고 멧돼지의 개체수를 감소시키는 노력 끝에 35년만(1995년 이후 비발생)에 ASF를 근절했다.
2018년 ASF가 최초로 발생한 벨기에 또한 잔반 급여 전면 중단은 물론 자국형 방역대를 설정해 감염지역 내 예찰과 멧돼지 수렵 등 관리를 강화했다.
2017년 ASF가 발생한 체코는 발생농장 중심 반경 10km에 대한 모니터링을 실시하는 한편 야생멧돼지에 대한 사살 허용 및 보상금을 지급하고 있다.
ASF 비발생국인 독일의 경우 예방적 차원에서 2009년부터 잔반 급여를 금지시켰고, 야생멧돼지 개체수 증가 예방을 위해 수렵 강화 및 먹이주기 금지 정책을 실시하고 있다. 이 같은 외국의 사례를 거울삼아 우리나라도 더욱 강력한 정책을 마련, 추진해야 한다.
한편 전문가들은 발병과 전파의 원인을 알 수 없는 상황이라면 이상 증세를 발견 시 빠른 신고만이 질병 고리를 끊을 수 있다고 말한다. 
양돈학 교과서에는 ASF의 증상으로 피부 청색증, 피부 출혈, 구토 등이 언급돼 있다. 그러나 이번 국내 발생에서는 이 같은 증상들은 거의 보이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역학조사 등에 공조한 양돈임상수의사 등에 따르면 이번 발생에서는 초기에 식불이 주요 증상이었다. 때문에 특별한 증상이 관찰되지 않더라도 일단 식불 증상을 보이고, 열감이 있으면 신속히 신고를 해야 한다. 현재로서는 신속한 신고만이 최선의 대안이다.
살처분 후 사후관리도 중요한 과제다. ASF 바이러스는 환경 저항성이 매우 강해 생존기간이 길다. 구제역의 경우 돼지가 죽으면 바이러스가 같이 사멸하지만 ASF 바이러스는 그렇지 않다. 죽은 개체나 분변 내에서도 최소 100일 이상 생존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발생 농장의 매몰된 동물에 대한 관리, 농장 내에 존재하는 분변에 대한 위생적이고 완벽한 처리, 살처분에 참여한 인원에 대한 위생관리가 무엇보다 필요하다.
특히 발생 농장에 대해서는 유기물까지 말끔히 씻어 낼 수 있는 축산전용세제를 통한 충분한 세정 작업 후 전문 소독제를 사용한 철저한 소독을 실시해야 한다.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