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동물복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지난해 신규 인증된 농가는 56개소로 전년보다 36.6%나 증가했고, 인증 누계는 총 198개소로 나타났다.
하지만 국내 동물복지는 아직도 갈 길이 멀다는 게 전문가들의 중론이다.
실제 전체 198개 동물복지농가 중 산란계농장 118개소, 육계농장은 58개소로 양계농가가 대부분인 것으로 나타났다. 양돈농가 13개소, 젖소농가는 9개소에 그쳤고, 한·육우와 염소, 오리 축종의 경우 인증농가 자체가 전무했다.
이처럼 국내 동물복지가 속력을 내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생산자들은 기존 축산농가가 동물복지 기준을 적용하기엔 무리가 있다고 지적한다.
한 예로 돼지의 인증기준은 군사사육과 모돈의 스톨 제거가 필수다. 바닥에는 깔짚을 깔아야 하고 휴식공간은 구멍이 나있는 천공성 바닥이어서는 안 된다.
그러나 국내 양돈장들은 스톨사육과 슬러리 돈사가 대부분이다.
때문에 기존 양돈장에 동물복지 인증기준을 적용키 위해선 시설을 다 뜯어내고 축사를 새롭게 리모델링하는 수밖에 없는데, 이에 따른 비용이 만만치 않아 엄두를 내기 어렵다는 것이다.
실제 동물복지 인증을 받은 대부분의 농가들이 최근 십년 내 축산에 신규 진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전문가들은 또 다른 그 이유로 축산물 유통과정을 꼽았다.
산란계의 경우 계란 자체가 최종산물인데다, 동물복지 인증 시 식용란선별포장업체를 통한 유통 의무에도 해당되지 않는 까닭에 농장에서 바로 납품이 가능하다는 것.
반면 소·돼지·닭·오리·염소 등의 축종은 반드시 도축과정을 거쳐야 하지만, 동물복지 도축장은 소·돼지 3개소와 육계 3개소 등 총 6개소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특히 염소의 경우 도축기준 조차 마련돼 있지 않아 농장인증을 받는다손 치더라도 동물복지 축산물로써 판매할 수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동물복지에 대한 인식이 많이 개선된 것은 사실이지만 아직 갈 길이 멀다.
동물복지 인증 활성화를 위한 정부의 전략과 뒷받침이 어느 때보다 절실하다.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