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리농가 휴지기제’ 도입
냉동비축 물량 대폭 늘어
지급단가 인하 확산 조짐
고기·부산물 해외수출 등
정부 차원 지원 서둘러야

 

오리업계의 불황 타개가 시급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를 위해 오리고기 및 부산물 수출확대를 위한 정부차원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최근 오리업계에 따르면 오리가격 하락세가 장기화되며 업계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
원인은 AI 예방을 위해 정부가 도입한 ‘오리농가 휴지기제’다.
지난 2017년 평창동계올림픽 성공개최를 위해 도입한 동절기 오리농가 휴지기제가 오리 생산량 급감으로 이어졌다는 것.
이에 따른 수급차질과 가격 고공행진으로 어려움을 경험했던 계열업체들이 지난해 휴지기제에 대비해 냉동 비축물량을 대폭 늘린 결과, 역대 최악의 판매시세와 냉동재고 등의 문제로 인해 곤혹을 치르고 있다는 것이다.
실제 오리고기 냉동 재고량은 5월 현재 431만3000마리로 여전히 많은 수준을 보이고 있으며, 오리가격도 6월 평균 5177원(생체 3.5kg당)으로 생산비 미만에서 머물고 있다.
이로 인해 국내 굴지의 오리계열업체는 오리생체 지급단가를 지난달 17일 입식분부터 기존 kg당 1650원에서 출하 마리당 300원을 인하한다고 밝힌 것으로 알려졌으며, 이를 계기로 오리업계 전반에 지급단가 인하가 확산될 조짐이다.
이에 업계에서는 오리산업의 불황 타개를 위해 오리고기 및 부산물 수출확대를 위한 정부차원의 지원이 시급하다는 주장을 펴고 있다.
국내에서 주기적으로 AI가 발생하는 까닭에 계열업체들의 적극적인 수출에 어려움이 있는데다, 수출협약이 체결된 나라도 5개국에 불과한 까닭에 수출 확대에 한계가 있다는 것이다.
실제 2002년 609톤, 2003년 338톤, 2004년 90톤, 2005년 563톤, 2006년 358톤 등 2000년대 중반까지 일본으로 상당량 수출되던 오리고기는 수출중단으로 실적이 전무한 실정이다.
또한 동남아에서 수요가 많은 부산물의 경우도 베트남과 홍콩 2개국에만 수출 중이며, 이마저도 계열업체가 아닌 업자를 통해서만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아울러 WTO 특별법에 따라 지원되는 수출물류비 지원단가와 품목도 해마다 감소세에 있는데다, 이외에 지자체별 추가 물류비 지원사업도 오리계열사가 위치한 시·도 중 전남과 충북에만 지원되고 있다는게 이들 주장의 근간이다.
이에 따라 오리업계는 오리고기 및 부산물 수출확대를 위해 정부 차원의 지원이 절실하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먼저 대일본 신선가금육 수출재개를 위한 노력과 함께 지난해 신규로 수출협약이 체결된 아랍에미레이트로의 열처리가금육 수출을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또한 이들은 수출물류비 및 수출작업장 지정을 위한 지원책 마련도 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부산물을 계열업체가 직접 수출할 수 있도록 부산물 전용가공시설 및 냉장시설 자금 지원과 오리고기 수출전용 포장용기 개발 및 안전성에 대한 정부인증 등이 필요하다는 것.
이와함께 해외시장 개척을 위한 현지 마케팅 비용과 홍보행사, 바이어 교섭 등을 위한 자금도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 오리협회 관계자는 “장기적인 오리산업의 발전을 위해 오리고기 및 부산물 수출을 확대해야 한다”면서 “오리고기 수출과 관련해 제도적 문제와 애로사항 해결을 위한 방안을 고민해야 할 시점”이라고 역설했다.               

키워드
#오리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