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축산 소식

중국, 영국산 소고기의 시장 접근 허용

중국 대표단이 영국을 잇따라 사찰하면서 5년간 2억 3천만 파운드(한화 3416억 원)에 달하는 중국 수출에 대한 청신호가 켜졌다. 중국과 영국의 제10차 중영경제재정금융대화의 일환으로 류사오밍 중국대사와 로버트 굿윌 영국 농림부 장관이 합의안에 서명함으로서 영국은 중국으로의 소고기 시장 접근을 확보했다.
이 합의는 중국 정부가 2016년 광우병 파동으로 인해 영국산 소고기 수입을 금지한지 20여 년만에 이루어진 것이다.
합의는 영국 환경식품농무부, 동식물보건기구, 수의학의약품관리국, 북아일랜드 식품기준청, 농업원예진흥위원회 및 영국수출인증파트너십, 농수산식품유통공사가 공동으로 주최한 방문검사에 이어 이루어졌다.
농업원예진흥위원회는 이번 합의에 대해 “이번 협정이 제시하는 기회로부터 영국의 육류가공업체들은 많은 이익을 얻을 준비가  되어 있다. 이번 소고기 수출 재개를 위해 지칠 줄 모르고 몇 년간 일해 온 정부와 다른 단체들의 노력에 감사의 인사를 보낸다. 우리는 최대한 빠른 시일 안에 영국에서 중국으로 가는 첫 선적이 이루어지길 바란다”라고 소감을 밝혔다.
리암 폭스 국제무역부 장관 역시 “이번 조치는 세계 유수의 영국산 소고기 생산자들에게 환영할 만한 진전”이라고 이야기 하며, “이는 국제무역부를 포함한 정부 전반에 걸쳐 수년간 노력한 결과이다. 유럽연합(EU)을 떠나면서 영국 기업들이 세계 전역에서 무역을 쉽게 할 수 있도록 시장 접근 장벽을 계속 허물겠다”고 덧붙였다.

 

AHDB, 아시아에 새로운 기회 모색

영국 기업들이 영국농업원예진흥위원회(AHDB)의 새로운 보고서에서 아시아를 타깃 시장으로 삼도록 권장받고 있다. 영국농업원예진흥위원회의 국제시장개발 책임자는 영국의 육류 가공업자들이 아시아에 초점을 맞춰야 하는 이유를 설명했다.
“아시아에 거주하는 45억 명의 사람들이 가처분 소득을 올리고 육류, 유제품, 감자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수출업자들에게 많은 기회가 오고 있다.”
보고서는 싱가포르, 대만, 홍콩, 한국의 ‘호랑이 경제(Tiger Economies)’가 어떻게 폭발적으로 성장하여 해외에서 생산된 고급 식품에 돈을 쓸 수 있는 부유층과 중산층을 만들어냈는지에 대해 서술했다.
보고서는 글로벌 데이터 연구를 인용하여 어떻게 아시아태평양 지역이 2881억 달러(약 300조 원)로 평가되며 세계 가치 매출의 30%를 차지하는 세계에서 가장 큰 육류 시장이 되었는지를 설명했다.
보고서는 냉동육 수요 증가에 힘입어 2023년까지 복합 연간 성장률이 2.2%가 될 것으로 예측한다.
보고서에 의해 확인된 식생활 트렌드는 중국의 서양식 식당 증가, 일본의 치맛살, 혀와 양지머리 사용, 말레이시아의 뼈있는 컷팅, 필리핀의 내장 식품 이용 등이 포함되어 있다. 농업원예진흥위원회의 아시아 개발부서는 이것이 아시아에서 영국 브랜드를 알릴 수 있는 좋은 기회일 수 있다고 말한다.
“아시아에서 영국산 고기는 맛과 품질 뿐 아니라 식품 안전 기준에서도 좋은 평판을 갖고 있다. 많은 지역에서 소비자들이 먹는 고기의 안전이 최우선이다. 따라서 엄격한 검사와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높은 수준을 유지할 수 있도록 모든 조치를 취하는 것이 중요하다. 중국과 같은 나라에서는 질병 발생, 식품 오염, 낮은 안전 기준과 관련된 문제들이 믿을 수 없을 정도로 심각하게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이는 수출 금지로도 이어질 수 있다.”

 

일본, 낙농가 수 20년 만에 60% 하락

일본 농림수산식품부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년 동안 일본의 낙농가 수는 거의 60%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감소 속도는 하루에 3농가 꼴로 낙농업을 포기하는 것과 같다.
감소의 이유로는 며칠간의 휴가도 허락하지 않는 가혹한 근무환경과 후임자의 부족을 꼽는다. 대부분 가업으로 이어지는 낙농업에서 노동력 부족과 후계자 확보의 어려움은 감소의 주요 원인이다. 우유 소매 가격 상승과 같은 효과도 나타나기 시작했다.
농림부에 따르면 1988년 낙농가 수는 3만7400 농가이며, 2018년에는 1만5700 농가로 연간 1085농가가 사업을 포기했다. 기타 우유나 버터의 원료가 되는 원유 생산량은 1998년 857만 톤에서 2018년 729만 톤으로 약 15%가 감소했다.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