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일 세종 농식품부 앞에서 ‘전국 염소 반납투쟁 및 한마음 결의대회’가 개최됐다.
이날 염소 사육농가들이 모인 이유는 여느 생산자단체들의 집회와 별반 다르지 않다.
FTA 체결로 인한 수입물량 급증과 사육두수 증가로 인한 가격폭락, 이를 해결키 위한 대안 마련이 목적이다.
하지만 가만 보자니 타 단체들의 집회들과는 다른 점이 눈에 띈다.
일반적으로 해당 축산업이 어려워진 책임을 농식품부장관에게 묻는 것과 달리, 이날 집회는 축산경영과가 책임의 대상이다.
염소농가들은 어떤 연유로 이토록 화가 나게 됐을까.
이들에 따르면 지난해 염소가 FTA 피해품목으로 지정되며 수급안정을 위해 ‘암염소 도태장려금’이 지원됐다.
생후 1년 이상의 가임 암염소를 대상으로 마리당 10만원씩 총 21억원의 장려금을 지원했는데, 축산경영과의 안이한 판단으로 인해 ‘암염소 도태장려금’의 효과가 무용지물이 돼버렸다는 것이다.
실제 지난 2012년 시행된 ‘한우암소 도태장려사업’의 경우 미경산우와 1~2산의 젊은 암소를 대상으로 한 반면, 염소는 생후 1년 이상의 가임 암염소가 대상이었다.
염소는 7개월부터 수정에 들어가고 3산 이상은 도축하는 까닭에 본래 목적인 사육두수 감축을 위해선 생후 1년 미만의 미경산 암염소를 도태하는 것이 맞지만, 이마저도 홍수출하로 인한 가격하락을 우려해 처분기간을 연장한 결과 ‘어차피 잡을 놈만 잡는 꼴’이 돼버렸다는 것이다.
더욱이 화를 돋군 것은 농식품부 관계자들의 태도라고 이들은 입을 모았다.
수차례의 전화 끝에 겨우 담당자와 통화할 수 있었다는 한 염소농가는 “축산경영과에 우리 염소농가들의 이야기를 들어주는 것이 농가를 살리는 가장 첫 번째 길’이라고 말했더니 ‘저희가 전화를 꼭 받아야 할 의무가 있습니까’”라며 “전화를 받지 않으면 과태료 처분이라도 내려지냐”는 반문이 돌아왔다며 울분을 터뜨렸다.
이처럼 농민들을 등한시하니, 내놓는 대책마다 현실과 동 떨어진다고 욕을 먹는 건 당연한 결과라 보여진다.
관련부서 담당자들의 각성을 촉구한다. 말 그대로 대오각성하길 바란다.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