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대 자본 한꺼번에 진입

협동조합·기업·지자체 등
직접 또는 컨소시엄 형태
10여 곳 줄서…지각 변동
1차 조정 경영 개선됐지만
법 종료 되자 전국적 ‘붐’
물량·인력 빼앗기 불보 듯
미래 예측 신중 접근 필요

 

도축업계가 자구 노력으로 일군 도축장 구조조정이 물거품이 될 위기에 처했다.
협동조합 패커와 기업형 패커가 거대자본을 앞세워 도축업계에 뛰어들면서 지각변동을 예고하고 있기 때문.
현재 도축장을 건립중이거나 건립예정인 회사와 조합, 지자체는 10여개에 이른다. 우선적으로 빠르면 올해부터 대전충남양돈조합, 부산경남양돈농협의 도축장이 가동된다. 선진은 경기도 안성에 종합축산식품복합단지 건립을 예고했다. 포천시도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민간자본을 투입한 종합식품단지를 조성한다. 포천축협, 서경양돈농협은 컨소시엄 형태의 도축장을 추진한다는 계획을 가지고 있다. 안동봉화축협도 경북 관내 7개의 축협과 함께 소 전문 도축장을 건립한다. 이밖에도 여러개의 지역축협들이 직접 도축장을 짓거나 컨소시엄형태의 도축장 건립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도축업계는 신규 도축장 건립에 난색을 표하고 있지만 현실적으로는 막을 길이 없다. 특히 자체 자본력으로 건립되는 도축장에 대해서는 불가항력이다.
2009년부터 2015년까지 7년간 도축장 구조조정 사업을 진행해온 도축업계는 자체 조성액과 정부 지원금을 통해 도축장구조조정법을 근거로 17개 도축장의 폐업을 도왔다.
도축장구조조정법의 취지는 포화상태에 이르러 가동률 저하와 경영악화로 위생시설에 대한 재투자가 원활히 이뤄지지 못하고 있는 도축장을 구조조정하고 이를 계기로 도축업 경영개선을 유도하는 것 이었다.
그러나 구조조정법이 2015년말 종료되면서 전국적으로 신규 도축장 건립 움직임이 시작됐고 기존의 도축장 사업에 차질을 빚게 됐다.
결국 구조조정만 하고 남은 도축장들의 경영개선이 아닌 신규도축장이 세워질 자리를 마련해 준 결과를 낳게 됐다.
도축업계는 구조조정법이 연장됐더라면 이런 사태는 발생되지 않았을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도축산업관계자는 “도축장 구조조정 자금이 200억 원 가량 남아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법 종료시한이 다되어 더 이상 사업을 진행할 수 없었다”면서 “법 연장을 위해 노력을 했지만 결국에는 2015년 말 부로 구조조정법은 마침표를 찍었고 그때부터 신규 도축장 건립의 움직임들이 시작됐다”고 말했다.
도축업계가 신규 도축장 건립에 날을 세우는 것은 구조조정법 때문만은 아니다. 인력 반출도 문제다. 3D업종으로 치부되면서 현재 도축장들이 전체적으로 인력난에 허덕이고 있는 가운데 신규 도축장건립으로 경력채용이 우선시되면 일자리 창출이 아닌 일자리 돌려막기가 될 것이 불 보듯 뻔 하다는 것.
실제로 1~2년 사이 생긴 신규 도축장들이 주변 도축장의 인력을 채용하면서 문제가 되기도 했다.
특히 대형 도축장들은 자본력을 앞세워 인력 부분에도 상당부분 투자를 하고 있기 때문에 기존 도축장들은 물량과 인력 모두를 빼앗기는 셈이 된다.
이 같은 이유로 기존 도축장들은 생존권 사수를 위해 신규 도축장 건립을 반대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지난해 축산기업인 선진이 안성에 축산물종합유통센터 건립을 추진하자 경기도내 10개 도축장들은 반대 입장을 표명하며 안성시와 시의회 등에 건의문을 전달했다.
현재 도축장의 신규 허가권은 시군에서 담당하고 있기 때문에 시에서 사업승인을 하게 되면 도축장을 건립할 수 있기 때문.
이에 도축업계는 도축장 신규 허가권을 시군 뿐 아니라 주무부처인 농식품부도 참여해야만 산업이 안정화 될 수 있다고 보고있다. 
도축산업 관계자는 “현재 상황만 보고 투자해서는 안된다”면서 “산업의 미래를 예측하고 과거의 사례들도 면밀히 살펴, 신중한 투자와 접근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