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부산우유가 낙농진흥회 가입 희망의사를 밝혔다. 이유는 2010-2011년 구제역을 겪으면서 증량한 쿼터를 회수하는데 조합원들과의 갈등이 반복됨에 따라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다. 내부의 갈등을 봉합하는 수단으로 진흥회 가입 카드를 내놓은 것이다.
낙농진흥회는 잉여원유 발생을 최소화하고 진흥회 소속 낙농가와 진흥회에서 원유를 공급받는 유업체와의 형평성을 고려한 검토를 하겠다고 밝혔다.
부산우유는 집유조합이자 가공조합이기 때문에 농가·유업체 둘 다 형평성 문제에서 자유로울 수 없기 때문이다.
진흥회가 가입 검토를 마친 후에는 부산우유 내에서의 승인이 필요하다. 조합원의 찬반투표에 따라 가입여부가 결정된다.
다만, 부산우유의 진흥회 가입 의향은 전 조합장의 임기중에 논의된 사항이기 때문에 3.13 동시선거에서 당선된 현 조합장 체제에서는 입장이 달라질 가능성도 있다. 낙농진흥회 가입 의사에는 변화가 있을 수는 있지만 수급 안정을 위해서는 생산량 조절은 필요하다.
부산우유의 상황을 접하고는 2014년 일어난 영남우유 사태가 떠올랐다.
경영난에 시달리던 영남우유가 2014년 폐업을 하면서 7개의 소속농가가 납유처를 잃었다.
이 가운데 몇몇 농가는 마찬가지로 폐업을 했고 나머지 농가들은 납유처를 찾아 나섰다. 그러나 당시 원유가 넘쳐나면서 전 유업계가 감산정책을 펼칠 때라 이들을 받아줄 곳을 찾는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했다. 우선적으로 영남우유의 쿼터가 백지화되면서 새로운 집유주체의 쿼터를 매입해야 하는데 경제적인 부담이 상당했다.
또 특히나 경남지역의 수급 불균형은 심각한 수준이었기 때문에 지역소재의 집유주체들은 더욱이 이를 받아들이기 어려웠다. 결국 한순간에 납유처를 잃은 낙농가들은 뿔뿔이 살길을 찾아 흩어졌다.  
규모가 작은 유업체 였기 때문에 파급효과가 적었던 것이지, 중대형 유업체였다면 그 여파가 상당했을 것이다. 불행이도 갈수록 낙농산업의 여건은 녹록치 않아지고 있다. 이런 상황이 지속된다면 제2, 제3의 영남우유 사태를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