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단 한고비는 넘겼지만 긴장 늦추지 말아야

29개 농가의 2272마리
발생·예방적인 ‘살처분’
긴급접종 후 시간 흘러
백신 효력 점차 높아져

신속한 역학관계 발표
주의환기용 의혹 제기
한우·한돈협 총력 대응
대대적 항체검사 예고

 

구제역이 지난 1월 경기도 안성과 충북 충주에서 잇따라 발생했다. 28일 안성 금광면 젖소 발생 이후 29일 안성 양성면 한우, 31일 충북 충주 주덕읍 한우에서 추가로 발생해 방역당국을 비롯해 축산업계 전체를 긴장시켰다.
방역당국은 구제역 확산 방지를 위해 신고가 들어온 당일부터 우제류에 대한 긴급 백신 접종을 시작해 2월 3일 전국 접종을 마쳤다.
지난 3일부터 13일까지는 생석회 1224.4톤을 공급해 차단벨트를 구축했다. 생석회 공급 현황을 살펴보면 △발생 및 인접시군 988톤 △전국 우제류 밀집단지 67개소에 109톤 △과거 항체양성률이 낮았던 농가 및 분뇨처리시설 656개소에 98톤 △포유류 도축장 전국 83개소 17톤 △전국 집유장 62개소에 12.4톤을 긴급 도포했다. 전국 포유류 도축장 83개소에는 시군 소독전담관을 파견·배치해 도축장 계류시설, 생축운반차량 소독 상황을 관리하도록 했다.
안성발 구제역 발생 이후 총 29호에서 사육 중인 우제류 2272두(소 24농가 2040두, 염소 5농가 232두)를 살처분 했다. 발생농장(3농가) 소는 203두, 예방적 살처분 우제류는 2069두(26농가)이다.
방역 전문가는 “긴급 백신 접종 이후 일정 시간이 흘렀기 때문에 백신 효력이 높아지고 있다”며 “전국 확산 위험 고비는 넘긴 것 같다”고 조심스럽게 진단했다. 그는 이어 “그렇지만 구제역은 1급 가축전염병으로 정부나 농가 모두 긴장을 늦추지 말고 확산 방지를 위한 노력에 소홀함이 없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개호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지난 13일 구제역 상황점검 및 대책회의에서 “매일 가축을 살피고 구제역 의심 증상 가축이 발견될 경우 즉시 방역기관에 신고(1588-4060, 1588-9060) 할 것”을 축산농가에 당부했다.
안성발 구제역 발생 및 정부 대응 상황을 날짜별로 정리했다.

 

○…1월 28일 구제역 첫 신고
경기도 안성시 금광면 소재 젖소농가에서 구제역 의심 신고가 방역당국에 접수됐다. 농식품부는 이날 오후 9시를 기해 위기경보 단계를 ‘관심’에서 ‘주의’로 격상시켰다. 정밀검사 결과를 기다리지 않고 해당 농장 젖소 120두를 긴급 살처분 했다. 발생농장 반경 500m 이내 농가에서 사육중인 우제류에 긴급 백신도 접종했다.
농식품부는 경기도 전역을 포함해 안성시와 경계에 있는 충남·북, 대전·세종 일원을 대상으로 이날 오후 8시 30분부터 29일 8시 30분까지 24시간 동안 일시 이동중지명령을 발동했다. 
 
○…1월 29일 구제역 O형 확진
농림축산검역본부의 정밀검사 결과 구제역 O형 바이러스로 확진됐다. 이낙연 국무총리는 곧바로 전국 지자체 합동 점검회의를 개최하고 방역상황 등을 점검했다. 이 총리는 “구제역 추가 확산은 없어야 한다”며 발생농가와 역학 관련이 있는 지자체의 과감하고 강력한 초동방역을 지시했다.
발생농장 인근 500m 이내에서 사육 중인 소에 대해 구제역 혈청검사를 실시한 결과 5농가에서 NSP(감염항체)가 검출, 농식품부는 이 지역 우제류에 대해 예방적 살처분을 명령했다. 농식품부는 NSP는 감염항체로 구제역 발생은 아니지만 농장 내 구제역 바이러스의 순환 가능성을 의미하기 때문에 500m 내 9개 우제류 사육농장에 대해 예방적 살처분을 실시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일부 언론에서는 ‘물백신’ 의혹을 제기했다. 그러나 구제역 확진 농가 주변으로 바이러스가 확산되는 ‘수평 감염’이 없다는 점에서 백신효능이 검증됐다고 농식품부는 설명했다.
경기도 안성시 양성면에서 구제역 의심 추가 신고가 접수됐다. 28일 첫 번째 구제역이 발생한 젖소농장과 11.4km 떨어진 한우농가다.

 

○…1월 30일 역학관계 발표
농식품부는 젖소에 이어 한우에서 구제역이 추가로 발생함에 따라 이날 오후 2시를 기해 위기경보 단계를 ‘주의’에서 ‘경계’로 한 단계 더 높였다. 확산 방지를 위해 발생지역인 안성시 소재 소와 돼지 전체에 긴급 백신 접종을 마친데 이어 인접 6개 시군인 이천·용인·평택·천안·전천·음성 지역에서 사육중인 우제류에 대한 긴급 접종에 들어갔다.
농림축산검역본부는 28일(젖소), 29일(한우) 구제역 발생농장 간 역학관계를 발표해 관심을 모았다. 유례가 없는 빠른 구제역 관련 역학관계 발표다. 검역본부는 구제역이 발생한 젖소농장과 한우농장에 바이러스가 차량을 통해 전파됐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정부는 오후 1시 30분 두 번째 구제역 발생(한우) 확진을 알리고, 2시간 30분만인 오후 4시에 농장간 역학관계를 발표했다. 일부에서는 정부가 너무 성급하게 역학관계를 발표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왔다. 또 정부를 향한 비난과 비판의 화살 방향을 다른 곳으로 돌리기 위한 주의 환기용 성격의 발표가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하기도 했다. 
농식품부는 역학관계 발표 직후인 4시 30분에 구제역 백신 접종 및 소독의무 위반농가에 대한 제재 강화 방침을 발표했다.
구제역 백신 접종 의무를 위반한 농가에서 구제역이 발생할 경우 ‘축산법’상 영업정지·허가취소 등의 처분을 부과하는 방안을 강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1월 31일 세 번째 구제역 발생
충청북도 충주시 소재 한우 11두를 사육 중인 농가에서 구제역 신고가 접수되자, 구제역이 광범위하게 확산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를 낳았다.
이낙연 국무총리는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국정현안점검 조정회의에서 “매뉴얼보다 더 선제적이고 강화된 조치가 필요하다”며 “연휴 기간에도 농림축산식품부와 관련 지자체들은 24시간 비상방역에 임할 것”을 지시했다.
농식품부는 전국 축산농가, 축산 관계자, 차량을 대상으로 31일 오후 6시부터 2일 오후 6시까지 48시간 이동중지명령을 발령했다. 전국의 모든 소·돼지 가축 시장을 3주간 폐쇄하고 가축 사육농가들의 모임도 금지시켰다.
대한한돈협회는 1월 31일부터 2월 6일까지 구제역의 확산방지를 위해 전국 모든 한돈농장에 대한 일제 청소와 특별 소독 캠페인을 전개했다. 농가 참여도를 높이기 위해 일제청소 기간에 농장 청소 및 소독 장면 사진을 협회 지부(회)에 제출하면 추첨을 통해 경품을 지급하는 색다른 이벤트를 실시했다.
 
○…2월 1일 방역 합동 담화문
구제역이 경기도 안성에 이어 충북에서 발생하는 등 확산 조짐을 보이자 이개호 농림축산식품부, 김부겸 행정안전부 장관은 정부서울청사에서 합동담화문을 발표, “구제역 확산을 차단하려면 국민들의 적극적인 협조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장관은 “구제역 바이러스는 전염성이 강해 큰 피해를 야기할 수 있지만 모두가 힘을 모은다면 조기에 차단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김 장관은 “발생지역과 축산농가 방문을 자제하고 행정기관에서 안내한 국민행동요령도 잘 지켜 주시길 요청 드린다”고 전했다.

 

○…2월 3일 전국 긴급 백신 접종 완료
농식품부는 구제역 확산을 막기 위해 전국의 소‧돼지 1340만두 백신 긴급 접종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지역 동물병원의 수의사, 농‧축협 소속 수의사 등 총 1099명의 수의사가 참여해 전국적인 접종 역량을 동원한 것이 접종 완료 시기를 크게 앞당겼다고 전했다.

 

○…2월 14·15일 이동제한 해제
방역당국은 구제역 추가 발생이 없자 발생농장 3㎞ 이내(보호지역)를 제외하고 안성(14일)과 충주(15일) 지역 우제류 농장들에 대한 이동제한을 해제했다.
충주 발생농가 반경 3km 이내 우제류 사육 농가를 대상으로 오는 22일부터 이동제한 해제를 위한 바이러스 검사를 실시한다. 혈액 채취·검사에 사흘 정도 걸리는 것을 감안하면 25일 이동제한이 모두 해제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방역당국은 항체 형성률이 미흡했던 농가를 대상으로 일제 항체검사를 실시한다. 일제검사에서 항체 형성률이 법적 기준치(소 80%, 돼지 30%)를 밑도는 농가는 과태료(1차 200만 원, 2차 400만 원, 3차 1000만 원) 부과, 농식품부 지원 사업 배제 등 제재를 받게 된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