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태복 농림축산식품부 과장
한우산업발전 토론회서 밝혀
농가들, 산업안정 참여 결의

 

“한우 생산농가들이 사육 마릿수의 320만 마리 도래를 상당히 걱정하고 있다. 과연 320만 마리에 도달했을 때 어떠한 영향이 있을 것인가는 지금시점에서 판단하기가 어렵다. 한우의 적정 사육 마릿수 설정이라는 것은 상당히 어려운 부분이다. 생산자와 업계 전문가 모두가 고민해 봐야 할 것이다” 송태복 농림축산식품부 과장은 지난 22일 한우협회 전북도지회가 한우산업 경영안정화를 주제로 개최한 심포지엄<사진 아래>에서 이같이 말했다.
한우 농가들이 공급과잉에 따른 가격 폭락을 우려하는 것에는 상당부분 공감하나 이를 해소하는 방법에는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송태복 과장은 적정 농지 면적을 예로 들며 적정 사육 마릿수 설정의 어려움을 토로했다.
송 과장은 “농지는 절대농지와 부동산 이라는 개념 때문에 관리가 가능하지만 한우 사육은 개개인의 역량과 사육방법, 가격에 따라 변동되는 범위가 상당히 크기 때문에 사실상 설정이 어렵다”고 말했다.
또 섣불리 적정 사육 마릿수를 설정했을 때 오히려 사육마릿수가 늘어난다거나 컨트롤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다는 것,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우 생산농가들이 한우협회를 중심으로 선제적 수급조절 방안을 내놓았고 이 부분에 대해서는 상당부분 농식품부도 공감하고 있다고 밝혔다.
때문에 전체적인 산업의 흐름과 요구 등을 반영해 농식품부가 3월 한우 종합대책을 마련해 내놓는다는 계획이다.
다만, 일본의 화우 산업과 비교해 예산을 세운다거나 정책을 무조건적으로 따를 수 없다는 것은 명확히 했다. 송 과장은 “우리니라와 일본의 GDP는 3배 정도 차이가 난다. 일본의 예산 규모는 따라갈 수가 없다”면서 “일본과 우리나라 한우 생태계가 다르다는 점을 감안해 다른 것은 다른 대로 인정하되 유사점은 최대한 뽑아내서 현실에 맞는 제도적 틀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송태복 농림축산식품부과장을 비롯해 김홍길 전국한우협회장, 이근수 이반농장 대표, 권응기 한우연구소 박사, 이성재 전북도청 축산과 과장이 토론자로 나선 가운데 청중들과 열띤 토론을 벌였다.
한편 한우협회는 토론회에 앞서 한우산업 경영안정을 위한 결의문을 함께 낭독하며 결의를 다졌다.<사진 위> 결의문은 △한우산업의 주체는 한우농가들이며, 한우산업의 문제는 한우농가 스스로 해결해 나아간다 △우리는 3백만두에 육박한 사육두수 조절을 위해 시행되는 저능력 미경산우 비육지원사업에 적극 참여한다 △우리는 한우산업을 항구적으로 안정화시킬 수 있는 비육우 경영안정제도 도입을 촉구하고 발동될 수 없는 송아지 안정제도를 개선하도록 하는데 매진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