닭고기자조금의 앞날에 험난한 가시밭길이 예상된다.
신임 관리위원장과 사무국에 대한 불만도 여전히 존재하는 등 내부적으로 삐걱대는 모양새다.
이는 지난달 31일 개최된 닭고기자조금 대위원회에서도 여실히 드러났다.
이날 대의원회에선 지난 관리위원장 선거에서 탈락한 후보자 중 한명이 “5년 8개월 동안 자조금을 한 번도 납부하지 않은 사람이 어떻게 관리위원장 자격이 있느냐”며 “당선된 관리위원장직을 사퇴하라”고 촉구했다.
다른 대의원은 해외선진지 견학 참가자 자격에 대해 문제를 제기했다.
그는 “자조금을 한 번도 내지 않은 사람들이 자조금으로 해외선진지 견학을 다녀온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최근 3년간 선진지 견학을 다녀온 이들의 명단과 자조금 납부내역을 공개하라”고 촉구했다.
게다가 닭고기자조금 소속단체 중 하나인 육계협회의 탈퇴설마저 불거지고 있다.
육계협회가 자조금측에 내년도 사업계획을 제출하지 않았고, 때문에 지난달 31일 열린 닭고기자조금 대의원회에선 육계협회의 사업이 빠진 내년도 사업예산안이 회의를 통과했다.
대의원들은 이달 말까지 육계협회의 사업계획 제출을 독려한다는 방침이지만 육계협회가 어떤 결정을 내릴지는 미지수다.
왜 닭고기 자조금이 이같은 지경까지 몰리게 된 걸까.
문제는 닭고기자조금 거출이 하림, 체리부로, 올품, 마니커, 참프레, 동우팜투테이블, 사조화인코리아, 농협목우촌, 대오, 한강CM 등 일부 계열업체에만 집중됐다는데 있다.
이를 제외한 나머지 30여개 유사 인티들은 10년간 자조금을 단 1원 한 장도 내지 않았고, 여기에 소속된 농가들 또한 자조금을 내지 않았다는 것.
때문에 “남들도 안 내는데 왜 나만 내야하냐”는 잘못된 논리가 닭고기업계에 팽배하다는게 관계자들의 중론이다.
해법은 농가와 계열사 전체에 대한 자조금 거출이다.
누군 내고, 누군 안 내는 게 아니라 모두 다 똑같이 낸다면 이같은 불만이 생길 이유가 없기 때문이다.
내부의 불만 사항을 잠재우는 것도 집행부 몫이다. 농가와 업체 모두 자조금에 참여할 방안을 모색하길 바란다.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