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도 ‘주 52시간 근무제’ 시행 때문에 큰일입니다. 인력을 대체 어떻게 충원해야 할지…”
한 계열화업체 대표이사가 깊은 한숨을 내쉬었다.
그는 “이대로라면 생산량을 30% 가량 줄여야한다”면서 “산업에 미치는 파장이 만만치 않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의 말처럼 ‘주 52시간 근무제’ 시행을 앞두고 도계업계의 혼란이 심화되고 있다.
노동시간 단축은 300인 이상 사업장부터 우선 실시되는데, 하림·참프레·마니커·동우팜투테이블·올품·체리부로 등 국내 굴지의 닭고기업체 모두 이에 해당되기 때문이다.
여기에 외국인 특례고용허가제 대상에서도 배제되는 까닭에 규모가 큰 기업이 일반 중소업체보다 인력난이 더 심각할 것이라는 게 관계자들의 공통된 견해다.
가장 큰 문제는 업무시간 단축에 따라 생산량도 줄어든다는데 있다.
생산량을 유지하려면 추가인력을 고용해야 하는데, 안 그래도 일손이 부족한 농촌에서 이를 충당하기란 하늘의 별따기에 가깝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도계장의 경우 민원 등의 이유로 인적이 드문 곳에 자리 잡고 있다는 것.
때문에 해당지역만으론 인원을 충원할 재간이 없어 부득이 타 지역에 셔틀버스까지 지원해가며 인력을 끌어오고 있는 상황에서, 100명 이상의 인력을 추가 고용한다는 것은 말도 안 되는 얘기라는 것이다.
근로자 역시 52시간 근무제가 그리 달갑지 않다.
계열업체 생산직으로 근무하며 두 자녀를 키운다는 A씨는 “돈 들어갈 일은 점점 많아지는데 벌이는 점점 줄어드니 당최 살 수가 없다”면서 “52시간 근무제에 적용되지 않는 300인 이하 사업장으로 이직해야 할지 심각하게 고민 중”이라고 말했다.
52시간 근무로 일찍 퇴근하고 삶의 질이 윤택해질 것이라는 건 이상일 뿐, 실제론 초과근무 수당으로 월급을 보전해오던 근로자들은 삶이 더 팍팍해졌다는 것이다.
“모든 정책에는 업계의 특수성을 감안해야 한다”란 그의 말에는 울림이 있다.
도계업계의 특수성을 감안해 예외규정을 두는 등 정부의 유연한 대응이 기대되는 이유다.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