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회 임원들, 무기한 단식
가금단체들은 ‘공동’ 성명

 

“더 이상은 못 살겠다. 오리농가 살려다오.”
전국 오리농가들이 거리로 몰려나왔다.
AI 방역조치에 따른 입식금지로 위기에 몰린 오리농가의 생존권을 사수하기 위해서다.
지난달 27일 세종시 농식품부 앞에서는 오리협회 주최로 ‘전국 오리농가 총궐기대회’가 개최됐다.
이날 전국 각지에서 모인 1000여명의 오리농가들은 △사육제한 시행방안 즉각 개선 △출하 후 휴지기간 14일 적용 즉각 철회 △입식 전 방역평가 시행방안 즉각 개선 △지자체장에 대한 방역권한 부여 즉각 폐지 △가축 사육제한 명령으로 인한 농가피해 전액 보상 등을 정부에 요구하는 한편, 관철될 때까지 무기한 농성과 단식투쟁에 돌입한다는 입장을 표명했다.
이들은 특히 AI 특별방역기간 조정과 함께 사육제한에 따른 현실적인 대책 마련을 강력 촉구했다.
10월부터 2월까지 5개월간 특별방역기간에는 출하 후 14일의 휴지기간을 적용해야 한다는 것.
여기에 겨울철 휴지기제와 지자체장의 방역권한 부여에 따른 사육제한까지 맞물릴 경우, 오리 생산량 급감으로 농가는 소득감소, 업체는 물량부족에 따라 업계 전체에 심각한 타격이 예상된다는 것이다.
이날 김만섭 오리협회장은 “갈수록 강화되는 방역정책으로 인해 정상적인 오리사육은 물론 오리생산액과 농가소득이 반 토막 났다”면서 “이같은 과도한 방역조치로 인해 오리산업은 갈수록 퇴보하고 있으며, 관계자들의 생계도 위협받고 있다”고 우려했다.
그는 이어 “AI를 빌미로 오리사육을 금지하는 탁상행정식 방역대책을 즉각 철회하고 오리를 정상적으로 사육해 소비자들에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해달라”면서 “이같은 요구가 관철될 때까지 목숨을 건 무기한 단식투쟁에 돌입한다”고 경고했다.
가금생산자단체들도 이들의 주장에 힘을 실었다.
양계협회와 육계협회 토종닭협회 등 가금생산자단체들은 집회 다음날인 지난달 28일 공동성명서를 통해 “AI 발생의 근본원인은 망각한 채 덜 키우고 많이 살처분하겠다는 정부 정책을 규탄한다”면서 “요구사항을 지속적으로 묵살할 경우 방역정책국 규탄은 물론 해체될 때까지 행동하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한편, 오리협회 임원들의 단식투쟁은 4일 현재 8일차를 맞았다. 단식농성 6일차인 지난 2일에는 정달헌 이사가 저혈당 쇼크로 쓰러져 병원에 후송되기도 했다.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