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중순 한 축산농가로부터 전화를 받았다.
자신을 한우농가라 소개한 그는 다짜고짜 나에게 물었다.
지방선거를 앞두고 축산업계의 요구사항을 각 지자체장 후보에게 전달했다는 기사를 봤는데 어떻게 결론이 났냐는 것이었다.
자신의 축사가 농경지에 걸쳐있는데, 축산단체가 요구한 ‘지목변경 없이 농경지 축사 인정’이 받아들여질 경우 적법화가 가능하다는게 그의 설명이었다.
수화기 너머 떨리는 그의 목소리에는 제도 개선에 대한 기대감이 역력했다.
그로부터 한 달이 지난 현재, 그가 원하던 제도 개선은 이뤄졌을까.
결론은 한발자국도 나가지 못하고 있는 상태다.
축산단체와 정부부처와의 협의는 여전히 진행 중인데다 환경부와 국토부, 교육부 등 관계부처 역시 자신들의 입장만을 고수하고 있다.
지자체장은 어떠한가. 지방선거 전에는 당장이라도 해줄 것 같은 자세를 취하다 선거가 끝나자 언제 그랬냐는 모양새로 일관하고 있다.
“시한부 인생에 기간만 더 연장해준 꼴”이 아니냐는 비아냥 섞인 지적이 나오고 있는 이유다.
시간이 경과할수록 이대로 가만있어서는 안 된다는 여론이 팽배해지고 있다.
오는 9월 24일 이후 무더기 축사폐쇄 조치가 내려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 경우 두 손 놓고 상황을 방기한 축산단체들 역시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지난달 18일 국무총리와 농업인단체장들이 가진 간담회 자리에서도 이낙연 총리가 농업단체장들의 요구에는 확실하게 답변한 반면, 축산단체장들이 요구한 무허가축사 사안에 대해선 확답하지 않고 ‘검토하라’는 지시를 내린 것 역시 곱씹어볼 대목이다.
이는 정부를 믿고 기다리라는 ‘긍정’의 의미가 아닌 ‘부정’의 의미로 받아들여야 한다는 것이다.
앞으로 약 2개월, 무허가 축사 적법화를 위해선 턱 없이 짧은 시간이다. 하지만 그러기에 이제라도 집회든 시위든 모든 방법을 총 동원해 제도 개선을 적극 주장해야 한다.
소 잃고 외양간도 잃기 전에 말이다.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