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리산업 위상 다시 높일 것”
농업생산액 7위에서 급락
방역, 입식금지 일관한 탓
‘가전법’시행 상황 더 악화
농가 소득에 심각한 피해

휴지기간은 4개월로 축소
업체들 물량 비축 가능케
비축 자금 지원도 급선무
‘중량’단위 가격표시 절실

 

오리산업이 축산업 4대 축종으로 자리매김하도록 탄탄한 반석 위에 올려놓겠다

김만섭 한국오리협회장은 지난 4일 최근 오리산업과 관련 오리산업은 연이은 고병원성 AI 발생으로 갈수록 퇴보하고 있다면서 오리산업의 정상화를 위해 가일층 분발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지난 201115000억원으로 쌀, 돼지, 한우, , 우유, 계란에 이어 생산액 7위를 기록했던 오리산업이 지난해 7000억원까지 생산액이 급감했다는 것.

김 회장은 “도압마릿수 역시 지난 2011년 1억1000만 마리에서 지난해 4700만 마리로 반토막 났다”며 “이는 모든 방역을 입식금지로 일관하는 정부의 탓”이라고 비난했다.
그는 특히 지난 5월 1일 시행된 가축전염병 예방법으로 가뜩이나 어려운 오리업계의 상황이 더욱 악화될 것으로 우려했다.
육용오리 농가는 일제 입·출하를 농가별 7일 이내로 운영하고, 특별방역대책기간에는 14일 휴지기간을 적용해야 하는데, 특별방역대책기간은 10월 1일부터 5월 30일까지 무려 8개월에 이른다는 것.
여기에 겨울철 오리농가 휴지기제까지 맞물릴 경우 육용오리 생산량이 급감해 농가는 소득감소, 업체는 물량부족으로 업계 전체에 심각한 타격이 예견된다는 설명이다.
그는 “오리는 연간 최대 8.4회전이 가능한데, 14일 휴지기간을 둘 경우 6.4회전으로 2회전이 줄어든다”면서 “연간 3000만원 이상의 소득이 감소할 것으로 점쳐져 오리농가의 가계에 심각한 피해가 예상된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같은 정부 정책은 오리고기 소비에도 악영향을 미친다고 꼬집었다.
생산량 감소는 가격상승으로, 가격상승은 소비저하로 이어져 결국 오리시장 축소로 귀결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그는 오리업계의 피해 최소화를 위해 휴지기간 14일 적용은 AI 특별방역대책기간에서 AI 위험시기인 11월 1일부터 2월 28일까지 4개월로 축소해 업체들이 물량을 비축할 수 있는 기간 확보와 함께 비축자금을 지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그는 육용오리 농가의 올인-올아웃 조치도 현실에 맞지 않다고 지적했다.
국내 부화장의 일일 생산능력과 국내 도축장의 일일 처리능력이 대부분 3만 마리 미만이라는 것. 때문에 3만 마리 이상의 대군농가의 경우 올인-올아웃이 불가능한 현실을 고려해, 비위험시기에는 육추동을 보유한 농가의 경우 육추동에 30일마다 오리입식을 허용토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그는 “겨울철 휴지기제는 농가 위험도평가를 거쳐 불가피한 경우에만 시행해야 한다”면서 “보상액은 현실에 맞게 조정하는 한편, 대상과 지원기준 등에 대해선 전국에서 동일하게 적용되도록 정부가 가르마를 타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최근 급감한 오리고기 소비확대 방안도 제시했다.
‘오리는 비싸다’는 인식 탓에 선뜻 오리고기를 먹지 못하는 소비자가 많다는 것.
때문에 식당에서는 ‘마리’가 아닌 ‘중량’ 단위로 가격을 표시해 이에 대한 선입견을 없애야 한다는 주장이다.
그는 “식당에서 오리를 마리 한 단위로 판매하는 것보다 1인분 단위로 판매하는 것이 소비자에게 더 저렴하게 인식된다”면서 “젊은 세대를 공략해 삼겹살처럼 구이문화를 정착시키는 것도 좋은 방안”이라고 덧붙였다.
마지막으로 그는 “최근 오리업계는 △지자체장의 사육제한 명령 권한 △살처분 보상기준 감액 △올인-올아웃 △휴지기간 14일 적용 △겨울철 휴지기제 등 5대 악법으로 어려움에 봉착해 있다”면서 “전국 950여 오리농가가 한 마음 한 뜻으로 뭉쳐 위기를 타개해 나가자”는 당부의 말도 잊지 않았다.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