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유통 ‘호수’, 소매 ‘중량’
거래 과정에서 발생된 피해는
납품업체가 고스란히 부담해
‘비용 증가’ 반대 여론도 급증

 

가금업계의 오랜 관행인 ‘호수별’ 정산을 근절하고 ‘중량단위’로 거래해야 한다는 여론이 팽배해지고 있다.
가금육의 경우 유통업체에서 호수를 기준으로 가격을 정산하다보니, 중량 차이에 대한 피해를 납품업체가 고스란히 떠안고 있기 때문이다.
닭·오리고기의 경우 소매단계에서는 중량이 표시돼 판매되지만, 생산·유통과정에선 호수별 거래가 오랜 관행으로 자리 잡고 있다는 것.
때문에 유통업체에 가금육을 납품할 경우 호수별 중량차이(100g) 만큼의 손실이 발생해 개선이 시급하다는 주장이다.
실제 닭·오리고기는 축산물 표시기준에 따라 도축업 영업자가 합격표시, 유통기한, 내용량 등을 표시하고, 내용량은 마릿수로 표시한 후 옆에 괄호로 중량(g 또는 kg)을 표시해야 한다.
또한 호수는 451~2951g의 중량 범위에 따라 100g 단위로 26개 구간(5~30호)으로 구분한다.
문제는 100g 단위의 호수를 정해놓고, 실제 중량과 관계없이 일률적인 가격을 적용한다는데 있다.
가령 11호의 경우 1051g~1150g이 기준으로 많게는 약 100g의 중량 차이가 발생하는 반면, 가격은 1051g과 1150g 한 마리에 동일한 값이 매겨진다는 것이다.
부분육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닭가슴살 300g 제품의 경우 각 조각마다 중량이 다른 까닭에 규격보다 많은 중량을 공급하게 되는데, 이때에도 정해진 규격에 따른 일률적 가격을 적용받는다는 것이다.
이에 업계관계자들은 “이같은 호수 거래는 소비자와 생산자 모두에게 이익이 되지 않는다”며 “생산·유통·판매 전 과정이 소·돼지처럼 중량단위로 거래될 수 있도록 개선이 필요하다”고 주장해 향후 귀추가 주목된다.
반면, 중량단위 거래에 대한 반대의견도 만만치 않다.
원론적으론 100% 공감하지만 업계에서 이같은 거래방식에 대한 의견이 수년간 제기됐음에도 불구, 지금까지 개선되지 않은 데에는 그만한 이유가 있다는 것이다.
가장 큰 이유는 비용증가다.
호수에서 중량단위로 변경할 경우 일일이 제품별로 무게를 달아 표시·유통해야 하는데, 이에 따른 관리비용이 만만치 않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 한 유통업계 관계자는 “가금육의 규격별 관리체계를 제품별로 변경할 경우 제품별 중량확인 및 라벨부착 등 제반비용이 발생케 된다”면서 “이는 소비자 가격상승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백화점의 경우에도 소고기·돼지고기 판매는 각각의 브랜드 전담인력이 담당한다”면서 “이는 단순 접근이 아닌 충분한 토론과 논의를 거쳐 신중히 판단해야 할 문제”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