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탠드스틸 때문에 가금업계의 피해가 막심합니다. 대체 누굴 위한 대책인지 묻고 싶습니다.”

한 업계 관계자의 하소연이다.

그는 정부가 다른 방역대책에 대한 아무런 검토도 없이 무조건 스탠드스틸을 발령함에 따라 가금산업의 피해가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며,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농가는 출하지연에 따른 생산비 상승으로, 업체는 도계장 등 가동중단으로 인해 이중고를 겪고 있다는 것이다.

실제 가금업계는 전국 스탠드스틸 발령시 산업 전체에 미치는 피해가 하루에 약 100억원, 재래시장 및 치킨 프랜차이즈업체 닭고기 원료 공급중단 등 후속적인 피해까지 감안하면 약 300억원 수준의 피해가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업계의 가장 큰 불만은 스탠드스틸 발령이 너무 잦다는데 있다.

SOP 규정상 고병원성으로 확진되고 국내 최초로 발생한 경우에만 스탠드스틸을 발령케 돼있지만, 고병원성 확진 이전에 발령하는데다 발생시마다 계속 발령하고 있다는 것이다.

실제 지난해 11월 17일 전북 고창에서 시작된 AI는 10일 현재 12건이 발생했지만, 스탠드스틸은 10건이 발동됐다.

때문에 업계에서는 금번 AI 발생상황이 지난해와 달리 폭발적으로 발생하는 양상이 아닌데다, 포천 산란계농장을 제외하면 주로 전남지역 오리에만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상황을 감안해 방역정책에 대한 ‘운영의 묘’를 발휘해야 한다는 여론이 높다.

스탠드스틸을 최대한 자제하고 발령을 하더라도 발령지역이나 발령기간을 최소화해 업계의 피해를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조정할 필요가 있다는 것.

또한 육계의 경우 사육담당, 사료차량, 출하차량, 상차반 등 모든 관리체계가 분리돼있어 교차 전파의 우려가 낮기 때문에 오리에서 AI가 발생하더라도 육계는 발령에서 제외하는 방안도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AI 확산을 막겠다는데에는 가금산업 종사자 모두 동의한다. 하지만 철새에 의해 매년 겨울마다 반복되는 현실을 감안한다면 피해경감을 위해 융통성을 발휘할 필요도 있다.

정부에 묻고 싶다. 스탠드스틸이 최선의 대책인가.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