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측 안전·위생 확보 생산자는 득보다 실 주장

최근 계란업계의 뜨거운 감자는 난각 산란일자 표시다.

정부와 소비자는 계란의 신선도에 대한 소비자 알권리와 선택권 보장을 위해 산란일자 표시가 필요하다는 입장인 반면, 생산자는 농가별 상이한 계란 반출일, 콜드체인시스템 미설치, 산란일자 표기 의무화 국가의 부재 등을 이유로 반대하는 입장이다.

지난 13일 국회의원회관 소회의실에서 개최된 ‘계란 안전성 확보를 위한 대국민 토론회’에서도 산란일자 표시 안건을 두고 찬반 의견이 팽팽히 맞섰다.

찬성 측은 계란의 안전성과 소비자 신뢰회복을 위해 산란일자 표기가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이향기 한국소비자연맹 부회장은 “지난 살충제계란 파동으로 계란에 대한 소비자 불신을 초래했다”며 “안전성과 위생성이 담보된 계란을 위해 산란일자 또는 소비기한 등의 제도 마련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반대 측은 산란일자 표기와 계란의 안전성은 별개의 문제이며, 업계에 득보다는 실이 더 많다고 주장했다.

김진석 한국양계농협 상무는 “온도에 따른 계란의 품질 변화에 관한 연구결과, 계란을 4℃에서 90일간 보관해도 품질에는 전혀 이상이 없었다”면서 “계란의 품질은 산란일자가 아닌 산란계 생산주령과 계란 보관온도가 좌우한다”고 주장했다.

김진석 상무는 이어 “한국양계농협의 경우 계란이 센터로 입고돼 마트에 납품되기까지 평균 4~5일이 소요된다”며 “때문에 산란일자가 멀어질수록 소비자들이 구입을 꺼릴 개연성이 높으며, 이 경우 품질에 이상이 없는 멀쩡한 계란이 액란 등의 가공용으로 넘어갈 공산이 크다”고 우려했다.

김성호 축산과학원 가금연구소 연구관 역시 “냉장상태로 3개월 이상 보관해도 계란의 품질변화가 없었다는 연구결과에서 보듯 산란일자와 계란의 안전성은 완전히 다른 얘기”라며 “‘산란일자가 멀어져도 품질이 떨어지지 않는다’는 사전홍보가 전제돼지 않은 상태로 이 제도가 시행될 경우 소비자 혼란이 야기될 우려가 높다”고 못 박았다.

남기훈 양계협회 부회장도 “국내에서 유통되는 농수축산물 중 채집일을 표기하는 경우는 전무하다”면서 “강제화는 부작용이 우려되는 만큼 권장이나 선택사항이 바람직하다”고 역설했다.

한편, 이날 정부관계자들은 산란일자 표기 의무화에 번복이나 후퇴는 없을 것이라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송태복 농축산부 축산경영과장은 “생산자 측은 산란일자 표기 의무화 국가의 부재를 반대이유로 꼽고 있지만, 외국과 대한민국의 축산 환경은 전혀 다르다”면서 “외국의 사례가 우리의 기준이 될 수 없다”고 말했다.

좌정호 식약처 식품안전표시인증과장은 “EU의 자율표시제가 가능한 이유는 생산자와 소비자의 신뢰가 전제돼있기 때문”이라며 “우리나라의 경우 소비자가 생산자를 잘 믿지 못 하는게 현실”이라고 지적했다.

좌정호 과장은 이어 “살충제계란 사태로 HACCP와 친환경인증에 대한 부정적 인식도 상당한 수준에 이르렀다”며 “이같은 소비자 불신 해소를 위해 제도 도입을 결정케 된 것”이라고 덧붙여 이를 둘러싼 논란은 한동안 지속될 전망이다.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