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뉴스를 보며 깜짝깜짝 놀라곤 한다.

경기, 강원, 충북, 경북, 제주 등의 야생조류 분변에서 AI 바이러스가 검출되고 있기 때문이다.

다행히 정밀검사 결과 저병원성으로 판명되고 있지만, 문제는 앞으로다.

지난 14일 경기 고양에서 수거한 야생조류 폐사체에서도 바이러스가 검출됐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폐사체에서 바이러스가 검출된 것은 분변에서 검출된 것과는 의미가 다르다고 지적한다.

가금산업 종사자들의 주의가 요구되는 이유다.

게다가 겨울철새들이 본격적인 남하를 시작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미 천수만과 새만금, 낙동강 하구 등의 전국 주요 철새도래지에는 철새무리가 어렵지 않게 관찰되고 있다.

이에 정부는 철새가 본격적으로 도래하는 10월부터 내년도 2월까지 AI 발생에 준하는 특별방역 대책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또한 ‘AI 방역 종합대책’을 통해 내년 2월 평창 동계올림픽 개최에 대비한 특별방역을 시행키로 했다.

하지만 정부의 대책만 가지곤 AI 발생을 막을 순 없다.

정부와 지자체뿐 아니라 가금농가들이 합심해 촘촘한 방역대책을 세워야 한다.

농가들이 할 일은 당연히 철저한 차단방역이다.

AI 유입방지를 위해 농장 내외부 소독 철저 및 출입자와 운송차량 등의 농장 출입통제, 농가의 축산관련 모임과 행사 및 철새도래지 출입 자제, 야생조류의 접근 차단을 위한 축사 내·외벽 그물망 설치, 축사 출입시 전용의복 착용 및 발판소독조 설치, 농장용과 계사용 장화의 구분 이용 등이 좋은 예다.

지자체 역시 철새 군집지역과 가금농가 간 이동경로에 소독시설을 설치·운영하고, 철새도래지에 대한 방역과 함께 현수막을 설치해 출입 자제에 대한 홍보를 강화하는 등 철저한 사전대비에 임해야 한다.

AI 사전대비를 위한 금쪽같은 시간은 지금도 계속 흘러가고 있다.

언제까지 소 잃고 외양간 탓만 되풀이할 것인가.

‘돌다리도 두들겨보고 건너는’ 치밀함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