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우유에서 슈퍼박테리아가 검출됐다는 보도가 잇따르면서 갖은 추측과 낭설이 난무하고 있다.

이른바 슈퍼박테리아라고 불리우는 '메티실린내성황색포도알균'(MRSA)이 나타난 건,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우유가 아닌 유방염에 걸린 젖소 원유의 시료다.

전문가들은 유입경로를 농가 주변의 환경 폐기물이나 대형 병원 등의 폐기물에 의한 감염으로 추정하고 있다.

그러나 일반소비자들은 우유에서 슈퍼박테리아가 나타났다고 오해하고 있다. 거의 모든 매체가 다루고 있는 기사에서는 국내 생산 우유에서 슈퍼박테리아 검출이라는 문장이 빠지지 않고 등장하고 있어 소비자는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우유에 박테리아가 있다는 뜻으로 해석하고 있다.

일부 영유아를 키우고 있는 주부들 사이에서는 치료할 수 없는 슈퍼박테리아가 우유에서 나타남에 따라 우유를 마시면 위험하다는 소문이 나돌기도 했다.

이 같은 여론이 확산되자 정부는 원유는 멸균과정을 거쳐 유통되고 있기 때문에 시중의 우유에는 전혀 문제가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우유자조금관리위원회도 반박 자료를 내고 입장을 표명했다. 우유자조금은 해당 연구논문에서는 시중 유통된 우유에서 검출한 것이 아니라고 못 박았다.

그들은 유방염에 걸린 젖소의 원유는 따로 분리집유해 폐기처분하기 때문에, 유통 자체가 불가능한데다가 원유는 모두 가공과정에서 살균처리를 하기 때문에 소비자들이 구입해 먹는 시중의 우유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는 것이다.

전남대 동물자원학부 오세종 교수도 이 같은 주장에 힘을 실어줬다. 그는 “유방에 염증이 있거나 유방염으로 항생제 치료를 받는 소의 젖은 법적으로 유통될 수 없다”며 “외부 환경에 의해 MRSA가 혼입이 되더라도 우유 살균처리 과정에서 전부 사멸하기 때문에 시중에 유통되는 우유에는 해당 박테리아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들의 해명을 받아들이기에 소비자들의 머릿속에는 치료할 수 없는 슈퍼박테리아가 너무 강렬하게 남은 것이 문제다.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