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경제연구원의 ‘2017 농업전망’에 따르면 올해 농업생산액은 2016년 대비 0.8% 증가한 43조2770억원으로 추정됐다.

곡물·채소·과실·특용류와 기타를 합친 재배업 생산액은 1.3% 감소한 24조3420억원인데 반해, 한육우·돼지·닭·계란·젖소·오리 등 축산업의 생산액은 3.7% 증가한 18조9350억원이다. 생산액의 증가를 축산업이 밀어올린 형국이다.

 

축산업은 약진 거듭

 

또 농업 부문의 부가가치를 보면 2016년 대비 1.3% 증가한 26조5650억원으로 전망되고 있는데, 재배업이 2.2% 감소한데 비해, 축산업은 사료비가 전년보다 하락한다는 예상 속에서도 8.8% 증가한 9조1260억 원이다.

특히 향후 10년 후인 2026년의 전망을 보면 재배업과 축산업의 생산액이 거의 대등한 수준까지 이를 것이라는 전망은, 축산업이 약진을 거듭하면서 농촌경제의 주축으로 완전히 자리매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농업의 한 자투리에서 더 이상 홀대받아서는 안된다는 사실의 입증이다.

농촌경제연구원은 올해 호당 농가소득은 농업소득과 농외소득 증가로 전년대비 0.5% 증가할 전망인데, 농업생산액 증가폭(0.8%)이 농업경영비 증가폭(0.3%)보다 커서 3831만 원으로 예측했다.

농가 소득이 10년 넘게 3000만 원대에 정체되고, 농업 소득이 20년째 1000만 원대에 머물고 있는 동안 축산농가의 소득은 2010년 4218만원을 정점으로 2015년 그 두 배에 가까운 7965만원에 달했다.

지역경제에서 축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얼마나 되는 지 수치로 이미 나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축산업은 지금 고령화 급진전과 축산에 대한 부정적 시각 등 안팎으로 위기다. 농가 인구 중 65세 이상의 고령층은 전체 농가 인구의 38.4%다. 40세 미만은 1.3% 밖에 되지 않는다.

축산 농가를 보면 더욱 심각하다. 50%에 가까운 수치는 그렇다 쳐도 대를 이을 후계농을 확보한 비율이 반도 되지 않는다. 향후 10년이면 현재의 농가 중 절반이 더 이상 가축을 키울 수가 없게 된다.

가족 노동력이 줄면서 일손이 달려도 사람 구하기가 ‘별 따기’다. 축산 현장은 외국인 근로자의 노동력을 빼고는 존재할 수 없는 상황이다. 축산 농가들은 그것도 모자라 외국인 근로자를 더 채용할 수 있게 해달라고 애원한다.

그러나 정부의 농업 회생정책은 미진하기만 하다. ‘귀농귀촌’을 독려하지만 특히 축산업으로의 진입은 턱없이 어렵다.

 

국가경제 고리 연결

 

정부는 ‘젊은이가 돌아오는 축산업’을 내세웠지만, 젊은이들이 농촌에서 축산업을 시작하기가 쉽지 않다는 문제를 해결할 의지도 없다. 사육기술도 문제이긴 하지만 더 큰 문제는 ‘뭉칫돈’을 투입해야 한다는 부담감이다. 많은 폐업농가들의 빈축사를 활용한 ‘축사은행제도’나 자금지원도 제대로 되지 않는다.

축산업 외부로 눈을 돌려보면 축산업의 환경은 더 암담하다. AI 등 악성가축질병은 이제 상재화 됐다. 한 번 터지면 가히 핵폭탄급이다. 축산업이 온전히 하나의 산업으로 자리매김하면서 국가경제라는 고리에 연결됐다. 산지에서의 피해는 곧바로 가공과 유통 그리고 외식산업 등 전체 국가경제의 피해로 번진다.

연례행사처럼 터지는 악성가축질병은 ‘공장식’ 축사의 부작용을 일반 국민들에게 낱낱이 보여주면서 악취 등과 함께 부정적 시각을 더 확산시킨다. 이 같은 부정적 시각은 환경문제화 되면서 축산 농가를 삶의 터전에서 쫓는 결과를 초래한다. 축산업을 오염산업으로, 축산농가가 오염물질을 배출하는 범죄자로 몰리는 상황이 그렇다.

정부와 지자체는 빗발치는 민원을 빌미로 축산업을 옭죈다. 정부가 내놓는 정책은 지역과 상생할 수 있는, 온전한 산업으로 여기고 수립되는 것이 아니다. 단편적이고 신경질적이다. 지자체는 내 지역에서는 안 되고, 타 지역으로 가란다.

소비자는 국내 축산물은 맛있고, 신선하고, 안전하다며 엄지를 척 세우지만, 축산 농가는 싫단다. 도시화가 지속적으로 진행되면서 먼저 있던 축사에서 냄새가 나니 생활은 말이 아니고, 집 값도 떨어지니 나가란다. 굴러온 돌이 박힌 돌이 빼는 격이다.

 

이기적 사고 버려야

 

축산업이 이처럼 동네북 마냥 얻어터지는 많은 부분 책임은 농가에게 있다. 산업의 일원으로서의 책임을 방기했기 때문이다. 규모는 커지는데 생각은 아직도 부업농 수준이다. 자신의 이익만을 챙기면서 산업 자체가 망가지는 것에는 아직도 많은 농가들이 ‘모르쇠’다.

생산자단체들이 앞장 서서 자정활동을 벌이고 있지만 남의 일이다. 그리고 문제가 발생하면 ‘제 탓’이 아니다. 선량한 농가들은 억울하다. 아직도 ‘남의 불행이 나의 행복’이라는 이기적 사고에 사로잡혀 있는 축산 농가들이 적지 않다.

이러한 현실은 산업의 패러다임이 바뀌는 절박한 시점에서, 보다 나은 미래로 나아가려는 다수의 발목을 잡고 현실을 왜곡시키는 것이다. 지금은 축산농가의 소득이 높다고 자랑하고 으쓱될 일이 아니다. 그에 맞는 성숙한 책임의식이 무엇보다 중요한 때다.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