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축업계가 염원했던 동물 혈액 자원화 사업이 외국자본에 넘어갈 위기에 처했다. 이미 사업계획까지 나온 상황에서 사업을 고사하게 된 이유는 정부지원금 때문이다. 정부는 영연방 FTA 피해대책 일환으로 혈액자원화 사업에 230억 원을 투자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보조 30%에 융자 50% 자부담 20%. 축산물위생처리협회는 사업추진을 위해 연구용역을 발주하고 타당성 검증에 나섰다. 사업성이 있는지, 어떠한 사업을 추진할지 등등을 목적으로 추진된 연구용역 결과, 사업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자, 정부는 사업성이 높기 때문에 민간주도의 사업도 가능하다는 이유로 사업지원 철회의사를 밝혔다. 기존에 보조하겠다던 30%를 융자로 전환하겠다는 것이다. 제아무리 저리 융자라고 할지라도 80% 융자에 20% 자부담은 업계에 100% 자부담이나 마찬가지다. 정부의 이런 결정에 사업은 사실상 무산됐다. 그들이 애초부터 숙원사업임에도 불구하고 실행에 옮기지 못한데는 전국에 분포해 있는 도축장의 특성 때문이었다. 혈액을 자원화 하는 것에는 사업성이 있지만 전국에 산재해있는 도축장에서 혈액을 모으는데 드는 물류비용과 시설 투자에 대한 비용 등을 모두 합쳤을 경우에는 상황이 달라지기 때문에 섣불리 뛰어들기는 어려운 사업이다.

이 가운데 두 곳의 외국기업이 사업에 참여 의사를 밝혔다. 양사는 국내의 혈액 자원에 효용성을 높이 평가하고 막대한 투자자금도 투자한다는 계획이다. 그들의 적극적인 투자 계획 및 요청이 국내 도축업계를 더욱더 고민에 휩싸이게 만들었다. 우선적으로 빠른 시일 안에 시설이 건립되면 도축장에서 지출되는 폐기물 처리 비용이 줄어드는 것은 사실이나, 여기에서 그칠 수밖에 없는 것이 문제다. 외국 기업들은 국내 혈액자원화 사업을 거점으로 아시아 시장을 살피고 있다. 이들이 국내에 사업을 전개하게 되면 제주를 제외한 대부분의 물량을 취급하는 구조로 독과점 형태로 운영예정인 가운데 사업의 연속성과 시장 경제성을 이유로 장기계약을 원하고 있어 사실상 혈액자원 전부를 넘겨줄 수밖에 없다.

도축업계는 이번 선택이 앞으로 가져올 결과를 예측할 수 없기에 쉽지 않은 선택에 기로에 노였다.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