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일부터 원유 기본가격이 리터당 18원 인하됐다. 이번 원유가 인하 단행으로 인해 소비자단체의 화살이 유업계로 향했다. 원유가격 생산비 연동제 시행 이후 우유값에 주목해온 소비자들은 유업계와 유통업계가 원유가격 인하에 따라 우유가격을 탄력적으로 조정하고 소비자의 부담을 낮춰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유업계에 날을 세우고 있다.

소비자들은 인상요인이 있을 땐 재빠르게 오르고 인하 요인이 있을 땐 모른 척 넘어가는 게 괘씸하다는 것이다. 지난 20013년 원유가격 연동제 시행 첫해 106원의 원유가가 인상되면서 유업체들이 일제히 200원 이상 가격인상을 단행해 소비자들의 공분을 산바 있다. 당시 소비자들은 유업계의 행태를 맹비난 하면서 두 달 이상 가격 인상을 저지하기도 했다. 106원의 원가 상승요인이 발생한 가운데 유업체들은 평균적으로 214원을 인상했기 때문이다. 10여개의 소비자 단체를 대변하는 소비자단체협의회는 원유가격 인하에도 불구하고 요지부동인 우유값을 조정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그들은 연동제 시행 후 첫 원유가격인하가 소비자가격 인하까지 이어지는 것은 당연함에도 과거 발 빠르게 우유 값을 인상했던 것과는 달리 인하에는 소극적인 태도를 보인다고 비난했다.

유업체들은 나름대로의 사정이 있다. 우선적으로 인하 요인이 너무나 작다는 게 가장 큰 이유다. 리터당 18원이 인하 된다고 가정했을 때 200미리 우유에서 반영할 수 있는 인하 액은 4원 가량이다. 과연 4원을 인하한다고 해서 소비자들이 만족할 수 있을까. 그렇다고 해서 인하요인보다 더 많은 금액을 낮출 수도 없는 입장이다. 결국엔 유통 마진 외에는 조정이 불가능하다는 얘기가 된다. 또 소비가 위축되면서 연중 할인행사를 진행하고 있기 때문에 추가 할인이 어렵다는 이유도 있다.

하지만 소비자도 더 이상 물러나지 않겠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소비자가격 인하를 통해 기초식품인 우유의 마진을 낮춰 서민들의 가격부담을 완화하고 소비확대를 통해 낙농가와 유업계, 소비자와 함께 상생해야한다는 주장을 내세우며 앞으로도 계속해서 대응하겠다는 입장이다. 낙농업계와 유업계가 소비자와 상생할 수 있는 길을 찾는 것이 쉽지는 않을 것이다, 그러나 결국엔 소비자와 상생하지 않는다면 산업을 유지할 수는 없게 된다는걸 염두에 두어야 한다.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