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균 소득 7960만원 전체 평균 2배 이상

지난 22일 농협 이사회는 축산업이 하나의 산업으로 자리매김했다는 사실을 농협중앙회 내에서조차 인정하지 않는 분위기를 그대로 보여줬다. 농업 측 이사조합장들이 농림축산식품부의 농업법 개정안 내용 중 ‘축산경제의 자율성과 전문성 그리고 독립성을 유지하는 법적 근거인 농협법 132조 축산특례조항의 삭제’를 당연시하고 있음에서 그랬다.

최근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은 통계청이 발표한 ‘2015년 농가경제조사’를 분석한 결과를 통해 지난해 농가 소득은 평균 3721만원으로 전년대비 6.5% 증가했다고 밝혔다. 현 정부 들어 농가소득이 꾸준히 개선되고 있다는 평가였지만, 농업 전문가들은 농업 소득의 증가분 중 이전소득이 기여한 비중이 48%로 본업인 농업소득 42%보다 높았다는 것은 농업 경쟁력이 강화됐다기보다는 정부의 지원금으로 농가 소득이 올랐다고 반박했다.

특히 경종농가 소득이 전년대비 13.7% 증가했다고 하지만 금액으로 따지고 보면 2559만원으로 평균 3721만원에 턱없이 부족한 액수다. 농가 소득의 평균 수치는 전업규모의 농가 중 축산농가의 소득증가가 농가 소득의 평균 수치를 올리는데 큰 몫을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축산농가의 평균 소득은 2013년 5270만원, 2014년 7230만원에서 지난해에는 7960만원으로 지속 상승하고 있으며, 농촌경제 활성화에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는 사실을 입증한다.

또 농협 조사월보 6월호에 실린 ‘농가경제 장기변화 1985~2015년 추이’ 보고서에 따르면 농가소득이 명목상으로는 늘었지만 도시근로자 가구와의 소득격차는 훨씬 심해졌다. 이를 보전하고 농촌경제에 활력을 넣기 위해서는 축산업의 보호·육성 등 농가 소득의 근본적인 증가대책이 마련되지 않는 한 농업에 희망이 없다는 점을 시사한다.

이 뿐만이 아니다. 지난 21일 농협중앙회 축산경제리서치센터의 황명철 센터장은 ‘NH 축경포커스’에서 최근 10년 간의 장바구니 농축산물 구성 변화를 분석한 결과 2000년대 이후 장바구니의 주인공이던 곡류와 채소가 육류와 과일 중심으로 바뀌고 있다고 밝혔다.

황 센터장은 통계청의 ‘가계동향조사’를 활용, 가계의 식료품 지출비용 구성비를 10년 전 3개년(2003~2005년)과 최근 3개년(2013~2015년)의 평균값으로 비교한 결과 육류는 12.9%에서 15%로 2.1%P, 과일은 11.1%에서 12.6%로 1.5%P 상승한 반면 곡물은 10.6%에서 6.1%로 큰 폭 하락했고, 채소도 11.9%에서 10.5%로 1.4%P 하락했다면서 향후 육류를 주식개념으로 인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변화를 인정하고 안전한 육류를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체계를 확립하면서 자급도 향상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를 위해서는 축산물의 생산기반 확대, 가공 및 유통의 선진화가 필요하며, 농협 등 축산관련 조직의 전문성 확보가 무엇보다 절실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