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 음성 축산물 공판장 한우 경매가격이 최근 1kg당 2만5000원까지 치솟으면서 소 한 마리를 경차 가격과 비교를 하네요. 한 마리의 지육량이 평균 456kg이니 1000만원을 훌쩍 넘는 다는 거지요. 경차와 비교를 하니 소 값 비싼 게 한 눈에 확 들어오데요. 그러니 주변에서 부러운 눈초리를 보내고, 전 축종 중 한우 가격만 좋으니 드러내 놓고 좋아할 수 없어 표정관리를 한다고 농을 던집디다. 남의 속도 모르고 참…”

 

이제 겨우 원가 맞춰

 

지난달 27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5년 축산물 생산비 조사’에 따르면 한우 100kg당 생산비는 94만3000원이었다. 이는 전년보다 2% 상승한 수치다. 600kg을 기준으로 하면 565만원을 약간 넘는다.

한우고기를 생산하는 비육농가는 공급 과잉 등으로 2012년 이전에는 마리당 17만4000원의 손실이 발생했고, 이후에는 36만6000원으로 손실이 증가했다. 지난해부터 가격이 오르면서 마리당 소득도 약 130만원 정도가 됐다. 평균 규모인 28.3마리를 비육하는 농가는 연간 11마리를 출하할 수 있으므로 이를 계산하면 연간 1430만원, 월 소득 120여만 원을 확보할 수 있는 정도다.

한우 가격 고공행진에도 불구하고 외부의 시각과 달리 한우농가들이 “몇 년 간 손해 보다가 이제야 겨우 원가를 맞출 수 있게 됐다”고 하는 이유다. 또 한우가격이 올랐다고 해서 사육 마리수를 늘리는 건 생각만큼 쉽지도 않다.

송아지 가격이 400만원까지 치솟은 데다 2년 이상을 사육하는 데 들어가는 사료 값만 300만원 정도 든다. 단순한 계산법으로도 출하 소가 700만원 아래로 내려가면 남는 게 없거나 손해를 볼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5월 상순 한우 600kg 1마리 가격은 658만6000원이다. 생산비를 제하고 나면 93만원의 이익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격이 높다고 가격 안정대책을 마련하는 등 부산을 떤다.

한우가격 폭등으로 인한 자급률 하락은 이미 2012년부터 줄기차게 지적되어 왔다. 그러나 적절한 대책을 마련하지 못한 것 때문에 ‘예견된 결과’라고 축산 전문가들이 지적하는 것이다. 한우 사육 마리수는 급격한 증가와 감소를 반복해 왔다. 수입육 시장의 절대 강자 역할을 해 왔던 미국산 쇠고기가 2008년 광우병 파동을 겪으면서 수입이 금지되자 한우고기에 대한 수요가 급증했다.

 

무슨 정책이 눈앞만

 

2000년대 초 일본에서 해외 광우병이 발생하자 자국산 와규에 대한 소비가 급증한 것과 같은 맥락이다. 수요 증가는 가격 상승을 부르고 사육 심리를 자극하면서 한우 사육 마리수를 경쟁적으로 늘렸다. 그 결과 5년이 지난 2012년 사육 마리수는 208만 마리에서 301만 마리로 무려 100만 마리나 늘었다. 단기간의 폭발적 공급량은 가격 폭락으로 이어진 것은 당연했다.

정부는 부랴부랴 암소 감축사업을 벌이고, 축사 폐업 보상금을 지급하면서 ‘마리수 줄이기’에 나섰다. 심지어 ‘송아지 고기’ 시식회까지 벌였다. 2008년 18만3000가구였던 한우농가는 한·미FTA가 체결된 2012년에는 15만4000가구로, 2016년 5월 현재 8만8000가구로 크게 줄었다.

당시 정부의 한우산업 안정대책이 지나친 암소 감축사업에 치우쳐선 안된다는 경고등이 계속적으로 켜졌다. 2012년 7월 GS&J인스티튜트는 ‘암소 도축이 증가한 상태에서 번식의향이 냉각돼 송아지 생산 마리수가 계속 감소할 전망이므로 사육 마리수는 이미 본격적인 감소기에 진입했다’고 지적했다.

그러므로 한우산업이 적정 마리수 수준을 밑돌 것을 예상해 현재의 사육 마리수 감축 시책에서 번식 및 입식 의향이 지나치게 냉각되지 않도록 관리하는 쪽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또 2013년 9월에는 “송아지 가격 하락으로 번식농가들이 채산성 악화로 대량 이탈하는 상황이 벌어지는 반면 거세우 가격은 소폭 상승하는 것으로 볼 때 비육농가는 규모를 확대하는 파행이 진행되어 앞으로 송아지 수급에 큰 문제가 야기될 것”이라고 지적하면서 “암소 감소 추세가 더욱 가속화돼 2017년 경에는 가임암소 마리수가 80만 마리 수준으로 급감해 가격이 급등하는 ‘가격의 대역습’ 상황이 벌어질 것”이라고 예고했다.

 

지금은 협조가 중요

 

“이러한 상황을 맞이하지 않으려면 암소 도축 증가 추세를 진정시켜 가임 암소 마리수의 과도한 감소를 억제하는 제동장치가 필요하며, 2012년 초 이후 사실상 중단된 ‘송아지생산안정제’를 부활시켜야 한다”고 지속적으로 조언했지만 2016년 6월 ‘가격의 대역습’이 1년 빨리 왔을 뿐이다. 이번 한우 값의 폭등이 예견된 것이라고 하는 이유다.

예견된 상황조차 대비하지 못한 정부의 정책 부재가 가장 큰 원인이기도 하지만 영세 번식농가들의 폐업을 바라만 보면서 당시 ‘송아지생산안정자금의 전용’에 사인을 했던 협회에도 일말의 책임은 있다.

공급량의 절대적 부족과 그로 인한 가격 폭등은 한우의 입지를 크게 좁혔다. 이미 아무나 소비할 수 있는 고기가 아니라는 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우산업이 그나마 안정을 찾으려면 번식농가의 부활이 무엇보다 시급한 과제다. 이를 위해 지금은 서로 협조해야 할 때다.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