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평택에 소재한 한 동물복지 축산농장의 대표 A씨는 최근 동물복지 인증을 반납했다. 동물복지 축산농장 인증제가 시행된 2012년 신청해 그해 인증을 받았지만 이 후 영업에 별다른 도움이 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경기도 안성의 한 동물복지 산란계농장의 대표 B씨도 불만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동물복지 계란을 생산, 출하해도 상품의 가치에 비해 만족할 만한 가격을 받지 못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두 농장 대표는 동물복지 축산농장 인증제와 축산물에 대한 홍보가 부족해 제품을 생산해도 그 가치를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이처럼 동물복지 축산물에 대한 홍보가 미흡하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동물복지 축산농장 인증제는 높은 수준의 동물복지 기준에 따라 인도적으로 가축을 사육하는 농장에 대해 국가에서 인증하고 인증농장에서 생산된 축산물에 동물복지 축산농장 인증마크를 표시하는 제도로 2012년 국내에 도입됐다.

여론조사 전문기업 (주)포커스컴퍼니가 지난해 10월 5일부터 27일까지 전국 만20세 이상 64세 이하 성인 남녀 3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15 동물보호에 대한 국민의식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 중 66.6%가 ‘동물복지 축산농장 인증을 받은 축산물(이하 동물복지 축산물)’을 구입할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동물복지 축산물 구입의향 조사결과는 2012년 조사결과에 비해 두 배 가량 증가한 것으로 동물복지 축산물에 대한 국민들의 선호도가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음을 알려준다.

그러나 이 같은 동물복지 축산물 인증제에 대해 알고 있다고 답한 응답자는 30.2%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나 대국민 홍보가 미흡하다는 지적이다.

실제로 포커스컴퍼니가 동물복지 축산물 인증표시제 관련 SNS 빅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최근 한 달 간(11월 3일부터 12월 2일까지) 관련 게시물은 농림축산식품부의 제도 안내글 단 1개로 제도의 홍보 수준 및 양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결과에서처럼 동물복지 축산물에 대한 국민들의 의식은 예상보다 높은 수준이지만, 아직 그 개념이 생소한 만큼 제도를 도입한 정부가 교육·홍보활동을 강화해 나가야 한다.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