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농 초기엔 너무 힘들었습니다. 4자녀에게 도시의 삭막한 삶을 물려주기 싫고, 고향의 향기를 느끼며 생활하도록 분위기를 만들기 위한 것이 주목적이었습니다. 귀농 전 2년을 아름아름 준비해 내려갔지만 농촌이라는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기 힘들었던지 온갖 병치레를 6개월 이상 했고, 새벽에 일어나 밭일을 하고 오전에는 통원치료, 다시 저녁에는 밭일…심신이 지쳤습니다. 다행히 1년 쯤 되니 건강을 회복했고, 그러한 어려운 과정 속에서 끈끈한 가족애가 생기고… 이제는 하루하루 가족 모두가 서로에 대한 소중함을 일깨워가고 있습니다.”

 

역귀농 대책 마련을

 

경북의 한 지역으로 귀농한 A씨의 성공 사례다. 귀농 전 몇 년을 적극적이고 체계적으로 준비하고도 초기에 많은 어려움을 겪었고, 그것을 이겨내면서 부농의 꿈을 키워 가는 그는 그동안 느끼지 못했던 가족의 소중함을 절절히 깨닫게 된 것은 금전의 가치보다 더 큰 보람이었다고 한다.

그러나 귀농·귀촌이 꼭 성공하는 것은 아니다. 충남의 B 씨나 서귀포 시의 C 씨의 경우는 다르다. 직장 생활에서 많은 스트레스를 받아온 40대 중반의 B씨는 ‘자연과 더불어 살면서 농사 일을 하면 마음도 편해지고 건강한 생활을 하게 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컸다고 한다. 규칙적인 생활과 쾌적한 환경은 그의 바램과 맞았지만 무료함과 무기력, 그리고 농사일의 노동강도를 견딜 수가 없었다.

정년퇴직 후 준비과정을 통해 귀농한 C 씨는 함께 온 아내 때문에 역귀농한 사례이다. 무턱대고 따라온 아내가 지역 주민들의 정서와 어울리지 못하고 겉돌면서 심한 우울증에 걸렸다. 정신과 치료까지 받는 아내 때문에 다시 도시로 발을 돌렸다.

정부는 농촌의 고령화와 지역경제 활성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편으로 귀농·귀촌을 권장하면서 귀농인에게는 땅과 집을 마련하는 자금 지원 뿐만 아니라 농지와 임야 구입자금과 전원주택 신축 및 매입자금 대출도 지원한다. 농업인 주택도 지을 수도 있다. 이러한 정책과 맞물려 언론 등을 통해 보도되는 억대 부농의 환상을 품고 귀농·귀촌인의 수가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역귀농’하는 사례도 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시급한 상황이다.

 

소득원을 적극 개발

 

귀농·귀촌이 왜 필요한가? 농촌의 심각한 고령화로 인한 공동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자연과 더불어 살기’를 원하는 도시인들을 영입함으로써 도·농 간의 격차를 줄이고, 지역 간 상호 균형 발전을 촉발한다는 차원에서이다.

농축산부와 국회 예산정책처에 따르면 귀농·귀촌의 누적 가구수는 2000년 1만8798가구였던 것이 2013년 10만 가구를 넘었다고 한다. 농촌으로의 행렬이 급속히 늘어 전체 농가 가운데 이들의 비중이 9%를 차지할 정도로 커졌다. 연령층도 30~50대로 크게 낮아져 향후 농촌 지역의 활성화도 기대된다.

그러나 이와 비례해 ‘역귀농’의 사례도 늘고 있다. 아직 정부가 정확한 수치를 파악하고 있지 못하지만 국회 예산정책처는 역귀농·귀촌 비율을 6%대로 추정한다. 역귀농의 가장 큰 원인은 ‘소득 부족’이다.

정부의 최근 집계에 따르면 귀농인의 경지 면적은 0.46ha로 전체 농가 평균 1.5ha의 31%에 머물러 있고, 노동력과 토지 등 농업 환경 또한 기존 농가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불리한 조건이다. 따라서 경기가 약간이라도 풀리면 직업을 구해 다시 도시로 나가는 ‘역귀농’이 증가하고 있는 것이다. 귀농·귀촌 가구의 급증세가 순기능으로만 받아들일 수 없는 까닭이다. 영농 기술 미숙과 주민과의 마찰 등으로 지역사회에 도움이 되기는커녕 갈등의 요인이 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런 의미에서 최근 농협중앙회 축산경제가 추진하고 있는 「축산업 생산기반 강화대책」은 특히 정부나 국회에서 눈여겨 볼만하다.

통계청의 「2013년 농림어업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체 인구의 고령화율은 12.2%이고, 농업분야의 고령화율은 36.8%인데 비해 축산농가 경영주는 44.3%로 초고령화의 시대에 접어들었다. 이는 10년 후면 10농가 중 적어도 2~3농가는 가축을 사육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50% 가까운 경영주가 가업을 이을 후계자를 구하지 못했다는 점을 감안하면 그렇다.)

 

기존 예산 활용토록

 

축산경제의 생산기반 강화대책은 고령화 문제를 해결하면서 기존의 귀농·귀촌인과 도시에서 힘겨워하는 젊은이들에게 동기를 부여함으로써 농촌에 활력을 불어 넣는다는 것이 주목적이다. 축산 후계인력 양성지원시스템을 설치·운영해 영농기술을 습득케 하고, 창업 자금 기금을 조성해 일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한다는 것이다.

폐업 농가의 빈 축사·폐업을 희망하는 농가와 이들을 연결하면서 저리 자금을 대출해 주고, 장기적으로 갚아 나가는 축사은행사업도 있다. 정부의 건실한 귀농·귀촌정책 강화를 위해서나 역귀농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에서 이러한 새로운 방향 제시는 시기적으로 적절하다. 농촌융복합산업·산지축산형농장 지원사업 등 재원은 많다. 특히 관리에 문제가 많았던 축사시설 현대화사업 자금이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환영할만한 대책이다.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