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 부산물 유통 비정상적 업체 중심 거래로 각종 문제 다발

국내 부산물 유통은 도축장의 생산시설 한계로 직접 판매가 아닌 부산물업체 중심으로 거래가 이뤄지면서 위생·안전성 부문의 취약점과 비탄력적인 가격 운영으로 수입 부산물의 확대 등 위험 요소가 갈수록 커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도축장내에서의 1차 가공처리와 판매로 위생적인 시스템을 마련해 수익구조를 높이는 등 부가가치를 창출하기 위한 시스템 구축이 가장 시급한 과제로 대두했다.

이는 한국육류유통수출협회(회장 박병철) 주최로 지난 23일 aT센터에서 열린 ‘식육 부산물 부가가치 제고와 유통구조 선진화 방안’ 세미나에서 제기됐다.

장영수 농협 목우촌 웰빙마을사업단장은 ‘소 부산물의 부가가치 제고전략 및 유통구조 선진화 방안’을 통해 “부산물의 비위생적인 유통관행 근절을 위해 외국과 같이 도축장 안에서 부산물이 세척 가공되어 박스 유통되는 위생적인 시스템 구축이 절실하다”면서 “이를 위한 부산물 유통구조 신설과 가공처리시설 자금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장 단장은 또 “정육점에서도 부산물 판매가 이뤄질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해 소비자가 식육과 부산물을 함께 구매할 수 있게 해야 한다”면서 아울러 뼈가 달린 부위육 유통과 상품 개발을 통한 소비 활성화를 함께 제안했다.

이승민 (주)축림 상무 역시 부산물 가격 경쟁력 확보 방안으로 도축장내의 위생적 설비 시스템을 강조했다. 이 상무는 “부산물의 국내 시세 변동에 대응하기 위한 수출 장려 정책과 소비 활성화 대책이 수반돼야 한다”면서 “도축장내 도축 즉시 처리 가능한 위생적인 설비 구축 지원과 함께 열처리 가공 부산물에 대한 부가가치세 면제 등의 지원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도축장에서의 세척과 가공은 소비확대는 물론 부가가치를 높여 수익구조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권원상 (주)팜스코 마켓팅팀장은 팜스코 자체 공장내에서 머리를 발골하고 내장을 분리·가공해 유통하면서 머리와 내장의 손익부문에서 마리당 3500원의 추가 수익을 올리고 있다고 소개했다. 권 팀장은 부산물판매업체를 거치지 않고 도축장에서 판매가 다각화될 경우 유통 구조 개선을 통해 마리당 1만원 수준까지 순익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이를 위해 부산물 프렌차이즈 사업, B2B와 B2C, 수출 사업 진행 등 다양한 부가가치 창출사업을 현실화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